![](/asset/images/sub/ic-split.png)
자동 의약품 불출기 안전사용 가이드라인
J. Kor. Soc. Health-syst. Pharm. 2024; 41(2): 101-105
Published May 31, 2024
© The Korean Society of Health-system Pharmacists.
의료기관의 약제부서는 처방감사, 조제, 검수, 불출, 배송의 과정을 통해 사용부서로 의약품을 공급한다. 자동 의약품 불출기는 의료기관 내 병동 등에서 의약품을 불출하는 장치로 ADCs (Automated Dispensing Cabinets)으로 알려져 있다. 자동 의약품 불출기는 의약품 배송 및 전달 과정이 생략되어 신속한 투약이 가능하고 바코드 확인을 통해 환자에게 의약품을 정확하고 안전하게 투약할 수 있으며 의약품 불출 및 사용기록 추적을 통한 재고 관리도 가능하다는 이점을 제공한다. 국외 의료시스템에서는 의약품 불출기를 통한 의약품관리 모델이 점차적으로 증가하고 있으며, 동시에 중앙 집중된 의약품의 수동 투여 비율은 계속해서 감소하고 있다. 국내에서도 최근 자동 의약품 불출기 도입이 확대되고 있고 이로 인해 의약품 보관의 편리성과 투약의 정확성이 증대되는 장점이 보고되고 있다. 그러나 오류 발생 가능성을 완전히 배제할 수는 없으므로 의료기관내 자동 의약품 불출기 사용 시 표준적인 지침을 제시함으로써 보다 안전한 의약품 사용에 도움을 주고자 한다.
의료기관에서 자동 의약품 불출기 사용과 관련한 표준 지침을 제시함으로써 장비 사용시 발생할 수 있는 오류 및 위험을 방지하고 안전한 의약품 사용을 수행하기 위함이다.
-
개방형 보관함: 통제가 비교적 적은 의약품(마약류, 고위험의약품을 제외한 일반의약품)을 보관하기 위한 공간으로 사용자가 서랍 내의 모든 의약품에 자유롭게 접근할 수 있다.
-
잠금형 보관함: 구획별로 뚜껑이 있는 보관함으로 미리 지정된 한 가지 의약품에만 접근할 수 있다.
4. 자동 의약품 불출기 사용 절차
가. 자동 의약품 불출기의 안전사용을 위한 설치 환경을 조성한다.
-
사용목적에 맞게 의약품 종류와 사용 예정량을 검토하여 자동 의약품 불출기의 크기와 필요 수량을 선택한다.
-
설치 부서의 특성을 고려하여 자동 의약품 불출기 설치 환경을 조성하고 자동 의약품 불출기 크기를 선정한다.
-
설치부서의 자동 의약품 불출기 사용목적을 고려한 의약품 종류를 선별한다. (예, 주사약, 고위험의약품, 냉장약, 마약류, PRN 의약품 등)
-
사용 예정량을 검토하여 자동 의약품 불출기에 보관할 의약품 목록을 결정한다.
-
사용할 의약품 목록에 적합한 보관함을 선택한다. (예, 개방형 또는 잠금형)
-
-
공간효율성을 고려하여 자동 의약품 불출기를 안전한 장소에 설치한다.
-
외부인의 출입 제한이 가능하면서, 사용권한이 있는 직원의 접근이 용이한 장소에 설치한다.
-
대화, 방해 또는 주의 분산을 최소화할 수 있는 장소에 설치한다.
-
-
자동 의약품 불출기 주변에 충분한 공간을 확보하여 장비의 문과 서랍을 완전히 열 수 있고, 냉장고와 연결된 경우 냉장 의약품에 접근이 원활하며 장비의 문과 서랍을 열 때 직원이 부상을 입지 않는 환경을 조성한다.
-
장비 사용시 화면, 의약품, 의약품 라벨 등이 식별될 수 있도록 장비 주변에 적절한 조명을 배치한다.
-
자동 의약품 불출기 내 의약품의 보관 온도와 습도가 적절히 유지될 수 있는 공간에 설치한다.
나. 자동 의약품 불출기 사용자에게 적절한 사용 권한을 부여하고 안전사용을 위한 절차를 마련한다.
-
자동 의약품 불출기 접근 및 사용은 약제부서 및 사용부서의 지정된 자로 제한한다.
-
자동 의약품 불출기 접근 및 사용 권한은 자동 의약품 불출기 안전사용 교육을 받은 자로 제한한다.
-
자동 의약품 불출기의 사용 권한 설정 및 비상시 의약품 불출 권한은 부서별 1인 또는 2인으로 제한하여 지정하거나, 원내 약제부서 전산의 별도 화면에서 처리 가능하도록 하여 이력관리를 한다.
-
자동 의약품 불출기 운영을 위한 의약품 마스터 기준 자료 권한은 약제부서 약사 1인 또는 지정된 자로 제한한다.
-
자동 의약품 불출기의 의약품 보충 및 배출은 약제부서 및 사용부서의 지정된 자로 제한한다.
-
-
자동 의약품 불출기 접근 관리를 위해 다음과 같은 절차를 시행한다.
-
생체 인식(지문 또는 지정맥 인식) 또는 비밀번호를 사용한다.
-
마약류 의약품은 잠금형 보관함에 보관하며, 두가지 이상의 접근 방법을 사용한다.
-
직원간 식별번호 및 비밀번호 공유를 금지한다.
-
사용 권한은 주기적으로 검토하여 담당자의 업무가 변경되거나 퇴사할 경우 사용자 권한을 조정한다.
-
자동으로 사용자를 등록하여 관리하는 경우에는 일정기간 장비 미 사용시 사용권한이 자동으로 삭제되도록 설정한다.
-
수동으로 사용자를 등록하여 관리하는 경우에는 약제부서 및 사용부서에서 주기적으로 관리한다.
-
-
자동 의약품 불출기 사용 모니터링을 위해 CCTV를 설치한다.
-
자동 의약품 불출기 사용 후 반드시 로그아웃을 시행한다.
-
장비 사용 후 불일치 사항에 대한 확인 절차를 시행한다.
-
불일치 사항이 발견되는 원인을 파악한다.
-
불일치 사항에 대해 확인 후 교정한다.
-
필요시 자동 의약품 불출기 사용 절차를 수정하고 재교육을 시행한다.
-
다. 자동 의약품 불출기 사용시 적절한 의약품 배치 및 보관기능을 선택하고 유지한다.
-
자동 의약품 불출기 사용시 최대한 안전하게 의약품을 보관할 수 있도록 구성한다.
-
마약류는 잠금형 보관함에 보관하며 한 칸당 최소처방단위의 마약류를 보관하여 잘못 불출하는 오류를 미리 방지한다.
-
마약류 이외에도 고위험의약품 및 통제 의약품, 고주의의약품, 도난 가능성이 있는 의약품은 의료기관의 필요에 따라 잠금형 보관함에 보관한다.
-
일반의약품의 경우에도 가급적 개방형 보관함이 아닌 잠금형 보관함에 보관하여 불출 오류를 방지한다.
-
-
특정 희석액이 필요한 의약품은 희석액과 세트로 불출할 수 있도록 구성한다.
-
자동 의약품 불출기 사용시 오류가 발생하거나 가동이 중단될 경우 대체 절차를 마련하고 직원들도 대체 절차에 대해 알고 있도록 교육한다.
-
자동 의약품 불출기 보관함에는 의료기관의 지침에 따른 적합한 의약품라벨을 부착할 수 있다.
-
고위험의약품의 경우 고위험의약품임을 알 수 있게 라벨링하고, 고농도 전해질은 ‘희석 후 사용’ 문구를 표기한다.
-
일반의약품의 경우에도 의료기관내 지침에 따라 적절하게 라벨링을 한다.
-
-
작업자가 준비한 모든 의약품에 적합한 라벨링을 지원하기 위해 필요시 자동 라벨 프린터 도입을 고려한다.
라. 자동 의약품 불출기 내 의약품의 목록과 수량을 적절하게 설정하고 유지한다.
-
사용부서 특성을 고려하여 환자 치료에 필요한 의약품 목록과 총량을 제한한다.
-
일반적으로 투여되는 용량과 가장 유사한 유닛도즈 포장을 선택한다.
-
의약품 부족과 과량 투여의 위험을 방지하기 위해 적절한 최소 및 최대 의약품 보충 기준을 설정한다.
-
의약품별로 최소 보유수량을 설정하고 재고부족이 반복되는 의약품은 필요에 따라 보충기준을 조정한다.
-
의약품 보충 주기는 사용량을 고려하여 사용부서와의 협의에 따라 설정한다.
-
의약품 재고 부족 시 즉시 보충이 불가능하거나 야간, 공휴일의 경우 약제부서에서 불출가능하도록 한다.
-
수량 불일치가 발생할 경우를 대비하여 보충 주기는 최소 주 1회 이상 유지하도록 한다.
-
-
적정재고는 처방패턴 및 처방량을 고려하여 연 1회 또는 정기적으로 검토하고 조정하며, 사용빈도가 낮은 의약품은 사용부서와 협의하여 자동의약품 불출기 의약품 목록에서 제외하는 것을고려한다.
-
자동 의약품 불출기의 운영을 효율적으로 유지하기 위해 정기적으로 자동 의약품 불출기 활동 보고서를 분석한다.
마. 자동 의약품 불출기 내 의약품을 안전하게 보충하고 반납을 시행한다.
-
업무의 효율성과 투약 안전을 고려하여 자동 의약품 불출기, 약제부서 사용 라벨, 약제부서 재고시스템에서 통일된 의약품명을 사용하여 의약품 보충 시에 정확한 의약품명 선택을 용이하게하도록 한다.
-
자동 의약품 불출기 보충을 위해 준비한 의약품이 보충 목록에 기재된 의약품과 일치하는지 확인하기 위해 바코드 리딩이 가능한 라벨을 사용한다.
-
의약품 보충을 위한 확인 절차를 시행한다.
-
보충을 위한 의약품 준비 시 의약품이 섞이거나 방해를 최소화하기 위한 적절한 공간을 지정한다.
-
일정 시점 기준으로 의약품 보충 목록이 자동 출력되도록 한다.
-
약사는 보충 목록에 있는 의약품과 수량을 준비하여, 이중 확인 한다.
-
마약류는 약사 1인이 의약품을 준비하고 다른 약사가 확인한다.
-
준비된 의약품은 해당 의약품의 식별이 가능하도록 개별 라벨링된 봉투 또는 분리된 통에 넣어 보충이 필요한 장비로 운반한다.
-
의약품 보충 시에는 의약품의 바코드를 스캔하여 의약품을 확인한다.
-
의약품 보충 시에는 화면에 표시되는 의약품 종류 및 전산 재고수량이 실제 의약품 및 실물 재고수량과 일치하는지 확인한다.
-
-
자동 의약품 불출기에 보충된 모든 의약품에 대해 사용기한을 정기적으로 확인하고 관리한다.
-
의약품 보충 시 사용기한을 점검하여 선입선출 되도록 보관함의 의약품을 정리하고 사용기한이 짧은 의약품인 경우에는 교체한다.
-
의약품 보충 시 사용기한 점검이 어려울 경우에는 의료기관에서 정한 점검주기에 맞춰 점검하고 사용기한이 일정기간 이내(예, 6개월 이내)의 의약품은 교체하여 사용기한이 경과되지 않도록 한다.
-
사용기한이 긴 의약품이 없을 경우 별도의 라벨을 부착하여 선입선출을 유도하고 사용기한이 긴 의약품 입고 시 즉시 교체하도록 한다.
-
마약류의 경우 여러 개의 보관함에 최소 처방 단위로 보관할 경우 각각의 보관함이 열리도록 한다. 일정주기로 장비 내 의약품의 사용기한을 확인한다.
-
-
자동 의약품 불출기에서 배출 후 사용하지 않은 의약품을 반납하기 위한 절차를 수립한다.
-
자동 의약품 불출기의 해당 의약품 보관함으로 반납 시에는 전산 재고와 실물 재고를 확인하여 재고수량 불일치가 발생하지 않도록 한다.
-
바코드 스캔이 가능하지 않거나 개방형 보관함에 보관된 의약품인 경우에는 해당 의약품 보관함이 아닌 자동 의약품 불출기의 지정된 반납함에 반납하도록 한다.
-
원내 시스템 또는 정책상 자동 의약품 불출기의 해당 의약품 보관함 또는 지정된 반납함으로 반납이 불가능한 경우에는 약제부서로 반납하도록 한다.
-
바. 자동 의약품 불출기 시스템에서 잘못된 환자를 선택하는 가능성을 최소화한다.
-
사용자가 지정된 환자 목록을 생성할 수 있는 기능을 제공한다.
-
직원 로그인 시 생성 환자 목록은 해당 부서로 지정된 직원만 가능하도록 한다.
-
화면에 생성된 목록에 환자등록번호, 환자이름, 성별, 나이, 환자병실, 처방일자 등의 개인정보를 표시하여 잘못된 환자를 선택할 가능성을 최소화한다.
사. 처방 검토 및 확인하는 절차를 확립한다.
-
자동 의약품 불출기에서 의약품 불출 시에는 약사의 처방 검토 및 확인 후에 의약품이 불출되도록 절차를 마련해야 한다.
-
약사의 처방 검토 이전에 의약품을 불출할 수 있는 범위는 환자의 안전을 고려하여 의료기관에서 정한다.
-
긴급한 상황에서 약사의 처방 검토 시간 지연이 환자 상태에 부정적인 영향을 줄 수 있는 경우 (예, 해독제, 길항제, 생명유지에 필요한 의약품 등)
-
기타 의료기관에서 정한 적절하고 타당한 상황
-
아. 자동 의약품 불출기에서 의약품 불출 시 절차를 확립한다.
-
의약품 불출 시에는 처방에 따라 한 번에 한 명의 환자만 선택하도록 하여 오류를 방지한다.
-
자동 의약품 불출기로부터 잘못된 의약품/제형/용량을 선택할 수 있는 위험을 제한해야 한다.
-
재고가 없는 의약품은 선택이 불가능하도록 설정한다.
-
의약품 라벨과 처방내용을 시각적으로 비교하면서 정확하게 의약품을 선택하는지 확인한다.
-
-
의약품 선택 및 불출 과정 중에는 다중 작업, 간섭(끼어듬) 및 주의 분산(예, 전화, 전자기기 등의 사용)등의 상황을 피하도록 한다.
-
의약품의 바코드를 스캔하여 처방된 약과 불출한 약의 일치여부를 확인한다.
-
의약품 불출 시 보관함의 재고수량과 화면에 표시되는 재고수량이 일치하는지 확인한다.
-
의약품 불출 후 즉시 투여되지 않는 경우에는 환자정보 및 의약품명등을 기재하여 보관한다.
자. 모든 사용자는 자동 의약품 불출기의 안전한 사용을 위한 교육을 받는다.
-
자동 의약품 불출기 사용 권한 부여 전 신규 직원을 대상으로 교육을 실시한다.
-
교육 및 자동 의약품 불출기 시스템 변경 시 표준화된 교육을 제공한다.
-
업무 중 오류가 발생하는 경우에는 오류를 검토하고 즉시 피드백 및 재교육을 실시한다.
-
일정한 주기에 따라 자동 의약품 불출기 사용에 대한 평가를 실시한다.
-
자동 의약품 불출기 시스템과 관련된 환자안전사고 발생시 관련 부서의 직원들과 사고 내용을 공유 및 검토하고 재발방지를 위한 대책을 수립한다.
- Guidelines for the Safe Use of Automated Dispensing Cabinets 자동 의약품 불출기에 대한 ISMP의 가이드라인 (2019).
- ASHP Guidelines on the Safe Use of Automated Dispensing Cabinets. AM J HEALTH-SYST PHARM. 2022 JANUARY 1;VOLUME 79(NUMBER 1).
Related articles in JKSHP
Article
특집
J. Kor. Soc. Health-syst. Pharm. 2024; 41(2): 101-105
Published online May 31, 2024
Copyright © The Korean Society of Health-system Pharmacists.
자동 의약품 불출기 안전사용 가이드라인
한국병원약사회 표준화위원회
1. 배경
의료기관의 약제부서는 처방감사, 조제, 검수, 불출, 배송의 과정을 통해 사용부서로 의약품을 공급한다. 자동 의약품 불출기는 의료기관 내 병동 등에서 의약품을 불출하는 장치로 ADCs (Automated Dispensing Cabinets)으로 알려져 있다. 자동 의약품 불출기는 의약품 배송 및 전달 과정이 생략되어 신속한 투약이 가능하고 바코드 확인을 통해 환자에게 의약품을 정확하고 안전하게 투약할 수 있으며 의약품 불출 및 사용기록 추적을 통한 재고 관리도 가능하다는 이점을 제공한다. 국외 의료시스템에서는 의약품 불출기를 통한 의약품관리 모델이 점차적으로 증가하고 있으며, 동시에 중앙 집중된 의약품의 수동 투여 비율은 계속해서 감소하고 있다. 국내에서도 최근 자동 의약품 불출기 도입이 확대되고 있고 이로 인해 의약품 보관의 편리성과 투약의 정확성이 증대되는 장점이 보고되고 있다. 그러나 오류 발생 가능성을 완전히 배제할 수는 없으므로 의료기관내 자동 의약품 불출기 사용 시 표준적인 지침을 제시함으로써 보다 안전한 의약품 사용에 도움을 주고자 한다.
2. 목적
의료기관에서 자동 의약품 불출기 사용과 관련한 표준 지침을 제시함으로써 장비 사용시 발생할 수 있는 오류 및 위험을 방지하고 안전한 의약품 사용을 수행하기 위함이다.
3. 용어 정의
-
개방형 보관함: 통제가 비교적 적은 의약품(마약류, 고위험의약품을 제외한 일반의약품)을 보관하기 위한 공간으로 사용자가 서랍 내의 모든 의약품에 자유롭게 접근할 수 있다.
-
잠금형 보관함: 구획별로 뚜껑이 있는 보관함으로 미리 지정된 한 가지 의약품에만 접근할 수 있다.
4. 자동 의약품 불출기 사용 절차
가. 자동 의약품 불출기의 안전사용을 위한 설치 환경을 조성한다.
-
사용목적에 맞게 의약품 종류와 사용 예정량을 검토하여 자동 의약품 불출기의 크기와 필요 수량을 선택한다.
-
설치 부서의 특성을 고려하여 자동 의약품 불출기 설치 환경을 조성하고 자동 의약품 불출기 크기를 선정한다.
-
설치부서의 자동 의약품 불출기 사용목적을 고려한 의약품 종류를 선별한다. (예, 주사약, 고위험의약품, 냉장약, 마약류, PRN 의약품 등)
-
사용 예정량을 검토하여 자동 의약품 불출기에 보관할 의약품 목록을 결정한다.
-
사용할 의약품 목록에 적합한 보관함을 선택한다. (예, 개방형 또는 잠금형)
-
-
공간효율성을 고려하여 자동 의약품 불출기를 안전한 장소에 설치한다.
-
외부인의 출입 제한이 가능하면서, 사용권한이 있는 직원의 접근이 용이한 장소에 설치한다.
-
대화, 방해 또는 주의 분산을 최소화할 수 있는 장소에 설치한다.
-
-
자동 의약품 불출기 주변에 충분한 공간을 확보하여 장비의 문과 서랍을 완전히 열 수 있고, 냉장고와 연결된 경우 냉장 의약품에 접근이 원활하며 장비의 문과 서랍을 열 때 직원이 부상을 입지 않는 환경을 조성한다.
-
장비 사용시 화면, 의약품, 의약품 라벨 등이 식별될 수 있도록 장비 주변에 적절한 조명을 배치한다.
-
자동 의약품 불출기 내 의약품의 보관 온도와 습도가 적절히 유지될 수 있는 공간에 설치한다.
나. 자동 의약품 불출기 사용자에게 적절한 사용 권한을 부여하고 안전사용을 위한 절차를 마련한다.
-
자동 의약품 불출기 접근 및 사용은 약제부서 및 사용부서의 지정된 자로 제한한다.
-
자동 의약품 불출기 접근 및 사용 권한은 자동 의약품 불출기 안전사용 교육을 받은 자로 제한한다.
-
자동 의약품 불출기의 사용 권한 설정 및 비상시 의약품 불출 권한은 부서별 1인 또는 2인으로 제한하여 지정하거나, 원내 약제부서 전산의 별도 화면에서 처리 가능하도록 하여 이력관리를 한다.
-
자동 의약품 불출기 운영을 위한 의약품 마스터 기준 자료 권한은 약제부서 약사 1인 또는 지정된 자로 제한한다.
-
자동 의약품 불출기의 의약품 보충 및 배출은 약제부서 및 사용부서의 지정된 자로 제한한다.
-
-
자동 의약품 불출기 접근 관리를 위해 다음과 같은 절차를 시행한다.
-
생체 인식(지문 또는 지정맥 인식) 또는 비밀번호를 사용한다.
-
마약류 의약품은 잠금형 보관함에 보관하며, 두가지 이상의 접근 방법을 사용한다.
-
직원간 식별번호 및 비밀번호 공유를 금지한다.
-
사용 권한은 주기적으로 검토하여 담당자의 업무가 변경되거나 퇴사할 경우 사용자 권한을 조정한다.
-
자동으로 사용자를 등록하여 관리하는 경우에는 일정기간 장비 미 사용시 사용권한이 자동으로 삭제되도록 설정한다.
-
수동으로 사용자를 등록하여 관리하는 경우에는 약제부서 및 사용부서에서 주기적으로 관리한다.
-
-
자동 의약품 불출기 사용 모니터링을 위해 CCTV를 설치한다.
-
자동 의약품 불출기 사용 후 반드시 로그아웃을 시행한다.
-
장비 사용 후 불일치 사항에 대한 확인 절차를 시행한다.
-
불일치 사항이 발견되는 원인을 파악한다.
-
불일치 사항에 대해 확인 후 교정한다.
-
필요시 자동 의약품 불출기 사용 절차를 수정하고 재교육을 시행한다.
-
다. 자동 의약품 불출기 사용시 적절한 의약품 배치 및 보관기능을 선택하고 유지한다.
-
자동 의약품 불출기 사용시 최대한 안전하게 의약품을 보관할 수 있도록 구성한다.
-
마약류는 잠금형 보관함에 보관하며 한 칸당 최소처방단위의 마약류를 보관하여 잘못 불출하는 오류를 미리 방지한다.
-
마약류 이외에도 고위험의약품 및 통제 의약품, 고주의의약품, 도난 가능성이 있는 의약품은 의료기관의 필요에 따라 잠금형 보관함에 보관한다.
-
일반의약품의 경우에도 가급적 개방형 보관함이 아닌 잠금형 보관함에 보관하여 불출 오류를 방지한다.
-
-
특정 희석액이 필요한 의약품은 희석액과 세트로 불출할 수 있도록 구성한다.
-
자동 의약품 불출기 사용시 오류가 발생하거나 가동이 중단될 경우 대체 절차를 마련하고 직원들도 대체 절차에 대해 알고 있도록 교육한다.
-
자동 의약품 불출기 보관함에는 의료기관의 지침에 따른 적합한 의약품라벨을 부착할 수 있다.
-
고위험의약품의 경우 고위험의약품임을 알 수 있게 라벨링하고, 고농도 전해질은 ‘희석 후 사용’ 문구를 표기한다.
-
일반의약품의 경우에도 의료기관내 지침에 따라 적절하게 라벨링을 한다.
-
-
작업자가 준비한 모든 의약품에 적합한 라벨링을 지원하기 위해 필요시 자동 라벨 프린터 도입을 고려한다.
라. 자동 의약품 불출기 내 의약품의 목록과 수량을 적절하게 설정하고 유지한다.
-
사용부서 특성을 고려하여 환자 치료에 필요한 의약품 목록과 총량을 제한한다.
-
일반적으로 투여되는 용량과 가장 유사한 유닛도즈 포장을 선택한다.
-
의약품 부족과 과량 투여의 위험을 방지하기 위해 적절한 최소 및 최대 의약품 보충 기준을 설정한다.
-
의약품별로 최소 보유수량을 설정하고 재고부족이 반복되는 의약품은 필요에 따라 보충기준을 조정한다.
-
의약품 보충 주기는 사용량을 고려하여 사용부서와의 협의에 따라 설정한다.
-
의약품 재고 부족 시 즉시 보충이 불가능하거나 야간, 공휴일의 경우 약제부서에서 불출가능하도록 한다.
-
수량 불일치가 발생할 경우를 대비하여 보충 주기는 최소 주 1회 이상 유지하도록 한다.
-
-
적정재고는 처방패턴 및 처방량을 고려하여 연 1회 또는 정기적으로 검토하고 조정하며, 사용빈도가 낮은 의약품은 사용부서와 협의하여 자동의약품 불출기 의약품 목록에서 제외하는 것을고려한다.
-
자동 의약품 불출기의 운영을 효율적으로 유지하기 위해 정기적으로 자동 의약품 불출기 활동 보고서를 분석한다.
마. 자동 의약품 불출기 내 의약품을 안전하게 보충하고 반납을 시행한다.
-
업무의 효율성과 투약 안전을 고려하여 자동 의약품 불출기, 약제부서 사용 라벨, 약제부서 재고시스템에서 통일된 의약품명을 사용하여 의약품 보충 시에 정확한 의약품명 선택을 용이하게하도록 한다.
-
자동 의약품 불출기 보충을 위해 준비한 의약품이 보충 목록에 기재된 의약품과 일치하는지 확인하기 위해 바코드 리딩이 가능한 라벨을 사용한다.
-
의약품 보충을 위한 확인 절차를 시행한다.
-
보충을 위한 의약품 준비 시 의약품이 섞이거나 방해를 최소화하기 위한 적절한 공간을 지정한다.
-
일정 시점 기준으로 의약품 보충 목록이 자동 출력되도록 한다.
-
약사는 보충 목록에 있는 의약품과 수량을 준비하여, 이중 확인 한다.
-
마약류는 약사 1인이 의약품을 준비하고 다른 약사가 확인한다.
-
준비된 의약품은 해당 의약품의 식별이 가능하도록 개별 라벨링된 봉투 또는 분리된 통에 넣어 보충이 필요한 장비로 운반한다.
-
의약품 보충 시에는 의약품의 바코드를 스캔하여 의약품을 확인한다.
-
의약품 보충 시에는 화면에 표시되는 의약품 종류 및 전산 재고수량이 실제 의약품 및 실물 재고수량과 일치하는지 확인한다.
-
-
자동 의약품 불출기에 보충된 모든 의약품에 대해 사용기한을 정기적으로 확인하고 관리한다.
-
의약품 보충 시 사용기한을 점검하여 선입선출 되도록 보관함의 의약품을 정리하고 사용기한이 짧은 의약품인 경우에는 교체한다.
-
의약품 보충 시 사용기한 점검이 어려울 경우에는 의료기관에서 정한 점검주기에 맞춰 점검하고 사용기한이 일정기간 이내(예, 6개월 이내)의 의약품은 교체하여 사용기한이 경과되지 않도록 한다.
-
사용기한이 긴 의약품이 없을 경우 별도의 라벨을 부착하여 선입선출을 유도하고 사용기한이 긴 의약품 입고 시 즉시 교체하도록 한다.
-
마약류의 경우 여러 개의 보관함에 최소 처방 단위로 보관할 경우 각각의 보관함이 열리도록 한다. 일정주기로 장비 내 의약품의 사용기한을 확인한다.
-
-
자동 의약품 불출기에서 배출 후 사용하지 않은 의약품을 반납하기 위한 절차를 수립한다.
-
자동 의약품 불출기의 해당 의약품 보관함으로 반납 시에는 전산 재고와 실물 재고를 확인하여 재고수량 불일치가 발생하지 않도록 한다.
-
바코드 스캔이 가능하지 않거나 개방형 보관함에 보관된 의약품인 경우에는 해당 의약품 보관함이 아닌 자동 의약품 불출기의 지정된 반납함에 반납하도록 한다.
-
원내 시스템 또는 정책상 자동 의약품 불출기의 해당 의약품 보관함 또는 지정된 반납함으로 반납이 불가능한 경우에는 약제부서로 반납하도록 한다.
-
바. 자동 의약품 불출기 시스템에서 잘못된 환자를 선택하는 가능성을 최소화한다.
-
사용자가 지정된 환자 목록을 생성할 수 있는 기능을 제공한다.
-
직원 로그인 시 생성 환자 목록은 해당 부서로 지정된 직원만 가능하도록 한다.
-
화면에 생성된 목록에 환자등록번호, 환자이름, 성별, 나이, 환자병실, 처방일자 등의 개인정보를 표시하여 잘못된 환자를 선택할 가능성을 최소화한다.
사. 처방 검토 및 확인하는 절차를 확립한다.
-
자동 의약품 불출기에서 의약품 불출 시에는 약사의 처방 검토 및 확인 후에 의약품이 불출되도록 절차를 마련해야 한다.
-
약사의 처방 검토 이전에 의약품을 불출할 수 있는 범위는 환자의 안전을 고려하여 의료기관에서 정한다.
-
긴급한 상황에서 약사의 처방 검토 시간 지연이 환자 상태에 부정적인 영향을 줄 수 있는 경우 (예, 해독제, 길항제, 생명유지에 필요한 의약품 등)
-
기타 의료기관에서 정한 적절하고 타당한 상황
-
아. 자동 의약품 불출기에서 의약품 불출 시 절차를 확립한다.
-
의약품 불출 시에는 처방에 따라 한 번에 한 명의 환자만 선택하도록 하여 오류를 방지한다.
-
자동 의약품 불출기로부터 잘못된 의약품/제형/용량을 선택할 수 있는 위험을 제한해야 한다.
-
재고가 없는 의약품은 선택이 불가능하도록 설정한다.
-
의약품 라벨과 처방내용을 시각적으로 비교하면서 정확하게 의약품을 선택하는지 확인한다.
-
-
의약품 선택 및 불출 과정 중에는 다중 작업, 간섭(끼어듬) 및 주의 분산(예, 전화, 전자기기 등의 사용)등의 상황을 피하도록 한다.
-
의약품의 바코드를 스캔하여 처방된 약과 불출한 약의 일치여부를 확인한다.
-
의약품 불출 시 보관함의 재고수량과 화면에 표시되는 재고수량이 일치하는지 확인한다.
-
의약품 불출 후 즉시 투여되지 않는 경우에는 환자정보 및 의약품명등을 기재하여 보관한다.
자. 모든 사용자는 자동 의약품 불출기의 안전한 사용을 위한 교육을 받는다.
-
자동 의약품 불출기 사용 권한 부여 전 신규 직원을 대상으로 교육을 실시한다.
-
교육 및 자동 의약품 불출기 시스템 변경 시 표준화된 교육을 제공한다.
-
업무 중 오류가 발생하는 경우에는 오류를 검토하고 즉시 피드백 및 재교육을 실시한다.
-
일정한 주기에 따라 자동 의약품 불출기 사용에 대한 평가를 실시한다.
-
자동 의약품 불출기 시스템과 관련된 환자안전사고 발생시 관련 부서의 직원들과 사고 내용을 공유 및 검토하고 재발방지를 위한 대책을 수립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