약사 업무의 표준화를 위한 입원환자의 의약품 처방 검토 및 약물 조정 제고: 지참약관리 및 다약제 사용관리를 중심으로
Enhancement of Inpatient Medication Review and Reconciliation through Standardization of Pharmacist Practice: Focusing on the Management of Outpatient Medication upon Admission and Polypharmacy
아주대학교병원 약제팀a, 가톨릭대학교 의정부성모병원 약제팀b, 연세대학교 약학대학c
Department of Pharmacy, Ajou University Hospital 144 World cup-ro, Yeongtong-gu, Suwon-si, Gyeonggi-do, 16499, Republic of Koreaa
Department of Pharmacy, The Catholic University of Korea, Uijeongbu ST. Mary’s Hospital 271 Cheonbo-ro, Uijeongbu-si, Gyeonggi-do, 11765, Republic of Koreab
College of Pharmacy, Yonsei University 85 Songdogwahak-ro, Yeonsu-gu, Incheon, 21983, Republic of Koreac
Correspondence to:†Yun Mi Yu Tel:+82-32-749-4505 E-mail: yunmiyu@ yonsei.ac.kr
Revised: April 9, 2024
Accepted: April 22, 2024
J. Kor. Soc. Health-syst. Pharm. 2024; 41(2): 151-182
Published May 31, 2024
https://doi.org/10.32429/jkshp.2024.41.2.005
© The Korean Society of Health-system Pharmacists.
Methods : We analyzed pharmacists’ inpatient medication review and reconciliation tasks to establish standard elements, including the core concept. General-purpose recommendations were derived from a survey on the current status and awareness of these elements. Literature and guideline research, along with a focus group interview, helped to derive detailed task elements. A survey assessed task element priorities and institutional performance, with key items determined from the results.
Results : Thirty-nine organizations participated in the importance-performance survey, and 46 organizations participated in the priority survey. Most task elements were evaluated with low scores for performance compared to importance awareness. The task elements were classified into “division of task,” “qualification requirements for pharmacists,” “patient selection,” “task scope,” “timing of work implementation,” and “task index.” Twelve of 22 elements were derived as key tasks (e.g., task scope and timing). The task scope was subdivided into medical history review, patient counseling, multidisciplinary team involvement, and medication reconciliation. A total of 33 of 51 task elements were identified as major performance items (e.g., medication review and reconciliation).
Conclusion : Based on the study results, major tasks were derived for the medication review and reconciliation of hospitalized patients. Recognized standard guidelines should be considered as the medical paradigm changes. In this regard, efforts to establish various task elements can improve patient safety and treatment outcomes.
Keywords
입원을 목적으로 의료기관을 방문하는 환자는 의학적 문제 해결을 위하여 수일의 기간이 요구되는 경우로, 기저질환이 있거나 복용 약제를 지참하고 내원하는 경우도 빈번하여 약사는 입원 중 추가 처방된 약품은 물론 과거에 복용해온 지참약의 적절성을 함께 검토해야 한다. 특히 다약제 복용 환자는 고령이거나 복합적인 기저질환을 동반한 경우가 많아 입·퇴원을 반복할 수 있고, 여러 의료기관을 이용하기도 한다.1) 2022년 건강보험심사평가원의 ‘노인의 다약제 사용 관리방안’ 연구결과에서는 5개 미만의 의약품 사용 환자에서 투약관련 위해가 발생하는 비율이 10.1%인 반면, 5~9개, 10개 이상의 환자군에서는 각각 13.9%, 18.0%로 증가함을 보고하였다.2) 따라서 다약제 복용 환자의 입원 전 이력을 포함한 포괄적인 약품 검토가 필요하다.
한국병원약사회는 2021년 국민건강보험공단(이하, 건보공단)의 올바른 약물사용을 위한 시범사업인 ‘다제약물관리사업’을 약사 주도로 긴밀히 협력 수행하기 위하여 건보공단과 업무협약(MOU)을 체결하였고, 그 결과 2020년부터 실시한 다제약물관리사업 병원모형의 참여 병원 규모는 2020년 1차의 7개 병원에서 MOU 이후 2021년에 35개 병원의 병원 약사들이 참여하여 그 규모가 대폭 확대되었으며, 2024년 현재까지도 참여병원이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다. 이러한 병원 약사들의 사업 참여 결과로 응급실 방문이나 재입원 위험을 감소시키는 등, 환자 안전 측면에서 긍정적인 효과가 발표되었다.3) 건보공단의 다제약물관리사업은 현재 시범사업으로 진행 중이나, 표준화된 업무 절차를 제공하고 수행한 업무에 대하여 별도의 수가를 지급하는 방식이어서 기존에 약물 조정 업무나 약료서비스를 수행하지 않던 기관에서도 사업 참여 접근성이 좋은 이점이 있다. 또한, 이러한 업무 환경은 서비스 대상 환자와 관련 의료진 사이에서 약사 역할의 필수성과 중요성에 대한 인식을 제고하여 사업이 지속되고, 확대되는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다제약물관리사업의 업무절차와 같이 입원부터 퇴원시점까지 입원기간 전반에 걸쳐 포괄적인 약사의 검토와 상담 및 조정업무를 정규업무로 유지하기에는 현실적 한계가 있으나, 국내 의료기관의 약제부서에서는 입원환자의 안전한 의약품 사용을 위하여 지참약 관리를 포함한 다양한 형태의 약물 조정업무를 부분적으로 시행하고 있다.4)-8) 그러나 현재 약물 조정업무의 상세 내용 및 절차에 대한 표준 지침서가 부재한 상황에서 의료기관마다 업무 절차와 범위에 편차가 있을 것으로 예상되며, 현재까지 상세 업무 흐름이나 서비스 범위를 확인한 연구도 미비한 상황이다. 2025년 초고령사회로의 진입을 앞둔 시점에서, 노인주의 의약품의 복용과 다약제 복용에 관련하여 사회적인 관심이 높아지고 있는 현재 흐름에 맞추어 병원 약제부서의 업무 또한 새롭게 정비하고 적절한 업무를 제공할 필요가 있다. 즉, 국내 병원약사의 입원환자 의약품 검토 업무에 대한 현황파악과 성과도출을 위한 명시적인 절차의 수립이 필요한 시점이다. 따라서 본 연구를 통하여 국내·외 약물 조정업무 현황과 관련 기준 및 법규를 조사하고, 국내 병원 약사의 약물 조정업무 상세요소를 구성하며, 실무 현황을 반영한 주요 상세항목을 도출하여 실무적 표준업무지침의 요소를 제안하고자 한다.
1. 연구설계
약사의 입원환자 약품 검토 및 조정과 관련된 업무 상세요소를 분석하여 중심 개념을 포함한 표준 직무요소를 도출하고, 해당 요소에 대한 현황 및 인식 조사를 통하여 실무 적용을 위한 범용적, 실용적 제언을 하고자 하였다. 관련문헌 및 지침을 조사하고 전문가 초점집단인터뷰(focus group interview, FGI)를 통하여 업무 상세요소를 도출하였고, 관련 학계와 산업계 전문가 자문을 통해 상세요소의 타당도를 확인하였다. 도출된 업무 상세요소의 우선순위에 대한 인식과 기관별 수행 현황을 확인하는 과정은 설문조사 형식으로 진행하였고, 설문 결과를 근거로 주요 상세 항목을 결정하였다.
2. 업무 상세요소 도출
4명의 참여 연구원들이 국제보건기구(World Health Organization, WHO)의 표준화된 프로토콜을 근간으로 한 국내외자료를 독립적으로 검토하여 1차적으로 업무 상세요소를 정리하였다.9) 다음으로 FGI에서 수집된 전문가 의견을 토대로, 업무 요소를 ‘업무분장’, ‘수행약사의 자격 요건’, ‘대상 환자 기준’, ‘업무 범위’, ‘업무 실시 시점’, ‘업무 지표’ 등 6개 요소로 크게 분류하였다. 그리고, 각각의 업무 요소에 대해 상세요소를 배치하였다. 이 중 ‘업무 범위’ 는 업무 완성도에 있어 가장 핵심적 요소라 판단하여, 4개 상세요소인 ‘약력 검토’, ‘약물 조정’, ‘환자 상담’, ‘다학제팀의료’ 각각에 대해 추가적인 하위 계층 요소를 구성하였다.
업무 요소 및 상세요소, 하위 계층 요소의 타당성 확인을 위하여 비대면 형식으로 전문가 패널 자문의견을 수집하였다. 각 요소의 내용 관련성에 대해 ‘매우 적합함(4점)’, ‘적합함(3점)’, ‘다소 적합함(2점)’, ‘적합하지 않음(1점)’의 4점 척도로 평가하고, 3점 이상으로 응답한 분율을 산출하는 content validation index (CVI)를 적용하였다. 기존 연구의 구성 인원에 따른 CVI 기준 값을 참고하여 CVI 값이 0.83 이상인 경우 타당도를 만족하는 것으로 간주하였다.10) CVI 값이 0.83 미만인 항목은 참여 연구원의 추가적인 논의로 항목 제외 여부를 최종 판단하였다.
타당성 확인 결과, 업무 요소는 업무 전반의 절차를 포함하며, 이상적인 업무모델 또는 현재 수행모델로 확인된 6개 업무 요소와 이와 관련된 상세요소 22개로 정리하였다. 또한, 업무 요소 중 ‘업무 범위’는 하위 단계로 4개의 상세요소 및 10개의 하위 계층 요소로 구성하였고, 하위 계층 요소에 관한 개념 요소를 총 51개로 정리하였다.
3. 설문조사 방법
본 연구는 2023년 10월 10일부터 10월 20일까지 한국병원약사회에 소속된 의료기관의 약제부서를 대상으로 하여 온라인 설문조사 방식으로 시행되었다. 한국병원약사회 소속 의료기관의 약제부서에 설문조사 모집문을 공고하여 연구참여자를 모집하였다. 참여 의사가 있는 연구대상자는 모집문에 삽입된 설문조사 링크주소를 클릭한 후 온라인으로 제시되는 연구설명문과 참여자 동의서를 읽고 참여 동의 항목을선택함으로써 자발적인 참여 동의 의사를 밝힌 후 참여가 가능하도록 하였다. 모든 연구참여자는 연구 도중에 자유롭게 연구 참여에 대한 동의를 철회할 수 있음을 이해한다는 동의를 한 후에 참여할 수 있도록 하였다. 본 설문조사는 관련 링크주소를 통한 온라인 설문 참여형식으로 진행하여 연구자가 응답자를 특정할수 없도록 하였다.
4. 설문내용
설문내용은 다음과 같이 기초정보, 업무 요소의 중요도-수행도, 업무 범위의 우선 순위에 관한 문항들로 구성하였다.
1) 기초 정보
기초정보로서 응답자 의료기관의 종별 구분, 병상 규모, 지역, 다제약물관리사업 참여 여부를 수집하였고, 응답자 개인의 관련 업무 경험 여부와 병원 약사로서 근속년수를 수집하였다.
2) 업무 요소의 중요도-수행도
업무 요소의 중요도-수행도를 확인하기 위하여 중요도-수행도 분석(Importance-Performance analysis, IPA)을 활용하였다. 설문 문항은 IPA 설문 문항에 맞추어 중요도(중요하지 않음~중요함)와 수행도(수행하지 않음·못함~수행함)를 각각 5점 척도로 답하는 두 개의 문항으로 구성하였다.
3) 업무 범위의 우선순위
우선 순위의 분석은 계층화분석법(Analytic Hierarchy Process, AHP)을 활용하였다. AHP는 계층화된 각 항목에 대하여 쌍대비교한 설문조사 결과를 이용하여 가중치를 평가하고 가중치 순위에 따라 중요도를 산출하는 방법이다. ‘업무 범위’ 하위 항목인 51개 개념 요소에 대하여 시행 중요도 우선순위를 묻는 문항을 구성하였고, 쌍대비교한 5점 평가척도의 설문으로 작성하였다.
5. 통계분석
1) 업무 요소의 중요도-수행도 분석
설문 항목별 중요도와 수행도의 평균값을 중심축으로 채택한 사분면에 표기하고 현상유지(제 1사분면), 집중노력 요구(제 2사분면), 중장기적 접근(제 3사분면), 과잉노력 지양(제 4사분면) 요소의 분포를 확인하였다.11) 본 연구는 설문 결과의 평균값을 직접 적용하여 분류하는 전통적 방식의 IPA (traditional IPA)와 전통적 IPA의 한계를 보완한 수정된 IPA (revised IPA) 분석방법을 적용하였다. 이 중 수정된 IPA는 Deng이 제안한 방법으로, 수행도를 자연로그로 변환한 후 전반적 수행도와 편상관분석을 통한 편상관계수를 산출하여 이 결과를 내재적 중요도(implicit importance)로 설정한 후 이를 y축으로, 직접 설문 응답 결과인 수행도를 x축으로 사분면을 구획하고 각 요소를 분류하는 방법이다.12) 5점 척도로 응답한 73개의 문항의 중요도와 수행도의 평균값을 t-test를 통해 비교하여 중요도와 수행도 사이의 차이를 확인하였다. 이후 두 방식의 IPA 사분면으로 결과 분석을 시행하였다. 통계분석 프로그램은 SPSS (IBM SPSS statistics Version 25.0)를 활용하였다.
2) 업무 범위의 우선순위 분석
설문응답의 신뢰도를 확인하기 위하여 일관성비율(consistency ratio, CR)을 산출하였다. 일관성비율은 우선순위의 논리적 모순을 측정하여 응답의 신뢰도를 평가하는 과정이며, 일관성 지수(consistency index, CI)를 무작위 지수(random index, RI)로 나눈 비율이다. AHP 분석을 적용한 기존 연구에서 통상적으로 일관성비율이 10% 이내이면 일관성을 갖는 응답, 20% 이내일 경우는 포함할 수 있는 범주의 응답으로 판단하는 것을 근거하여 본 연구에서도 일관성비율 20% 이내인 설문지만을 포함하여 분석을 진행하였다.13)
설문 결과를 취합하기 위하여 각 요소별 기하평균을 계산한 후 재구성한 쌍대비교 행렬 단일의 값을 통하여 상대적인 중요도를 계산하는 geometric mean pairwise comparison 방법을 활용하여 업무형태와 업무범위 하위 항목의 우선순위를 최종적으로 도출하였다. 업무범위 요소 중 ‘약물조정 내용’의 경우 하위 항목의 수가 13개로 우선순위 분석의 결과가 모호할 것으로 예상되어 IPA 분석으로 결정된 각 사분면의 항목을 묶어 사분면별 우선순위를 추가적으로 도출하였다. 분석 도구는 DRESS (1.7.00, CHOISH Software DRESS, Korea)를 활용하였다.
6. 연구대상자의 보호
본 연구는 아주대학교병원 기관연구윤리심의위원회 심의를 거쳐 승인 받았다.(승인번호: AJOUIRB-SB-2023-473)
1. 응답자 특성
설문조사에는 업무 요소의 중요도-수행도 설문(이하 IPA설문)에는 39개 기관이, 업무 범위의 우선순위 설문(이하 AHP설문)에는 46개 기관이 참여하였다. 의료기관 종별 설문 회수율은 IPA설문과 AHP설문 각각 47개 상급종합병원의 44.7%(21건), 55.3%(26건), 229개 종합병원의 7.4%(17건), 8.3%(19건), 328개 병원의 0.3%(각각 1건)이었다. 두 설문 간 참여 병원의 종별 특성은 유사하였는데, 상급 종합병원이 과반수 이상(IPA설문 53.8%, AHP설문 56.5%)을 차지하였고, 다음으로 종합병원이었으며(IPA설문 43.6%, AHP설문 41.3%),병원은 두 설문 모두 1건으로 확인되었다. 지역은 서울과 인천·경기 지역의 응답이 IPA설문 23건(58.9 %), AHP설문 30건(65.2%)이었다. 다제약물관리사업을 참여한 경험이 있는 기관은 IPA설문 22건(56.4%), AHP설문 29건(63.0%)이었다. 응답자의 근무경력은 10년 단위로 그룹화 하였을 때 비교적고르게 분포하고 있었다(Table 1).
2. 업무요소의 중요도-수행도 인식: IPA 설문
1) 업무 요소와 업무 범위의 중요도-수행도 평가
대부분의 상세요소에서 중요도 대비 수행도를 낮은 점수로 평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22개 상세요소 중 가장 높은 중요도로 답한 요소는 ‘업무 범위’의 ‘약물 조정’이었다(mean±SD, 4.56±0.55). 가장 높은 수행도를 나타낸 요소는 ‘업무분장’의 ‘업무별 전담’ 방식과 ‘대상 환자 기준’의 ‘특정 약품 복용 환자’였다(mean 3.51). 평균 수행도 1점대의 낮은 수행도를 나타내는 요소는 ‘업무 범위’의 ‘환자 상담(1.90 ±1.02)’, ‘다학제팀의료(1.95±1.10)’, ‘업무 지표’의 ‘clinical outcome(1.46±0.91)’, ‘만족도(1.56±0.94)’ 였고, 이 중 중요도를 높게 인식하고 있는 요소는 ‘다학제팀의료(4.08±0.93)’이었다(Table 2).
업무 범위의 평가 결과도 업무 요소와 유사한 양상이 확인되었다. 중요도와 수행도 모두 4점 이상의평균값을 가진 요소는 ‘약력 검토’ 업무의 ‘사용 자료원’ 중 ‘실물약(중요도/수행도 평균 4.44/4.62, p=0.245)’, ‘원내전산(4.44/4.15 p=0.247)’, ‘의약품 카테고리’ 중 ‘처방받은 약품(4.67/4.36, p=0.085)’이었다. 4점 이상의 높은 중요도로 인식한 반면 1점대의 수행 정도를 보인 업무는 환자 대면으로 수행하는 동일한 성격을 지닌 두 요소로, ‘약력검토’의 ‘리포트 제공 대상’ 중 ‘환자·보호자(4.10/1.97)’와 ‘환자 상담’의 ‘대상환자 선정 기준’ 중 ‘환자 상태(4.13/1.74)’이었다(Table 3).
2) IPA로 도출한 업무 상세요소의 향후 전략
업무 상세요소 22개 요소를 IPA 분석 결과에 따라 사분면에 표현하였을 때, 수정된 IPA 분석에 따른 사분면 분포는 1사분면(현상유지) 8개, 2사분면(집중노력 요구)과 3사분면(중장기적 접근 요구)에 각각 5개, 4사분면(과잉노력 지양) 4개였다. 업무 범위는 1사분면 12개, 2사분면 12개, 3사분면 16개, 4사분면 11개의 분포 양상을 나타냈다(Table 4, 5).
업무 상세요소의 수행약사의 자격 요건 상세요소 2개는 모두 1사분면에 위치하였다. 대상 환자 기준의 5개 요소는 3사분면에 2개가 위치하여(노인환자, 특정병동·진료과 재원환자) 중장기적 접근이 요구되는 항목임을 확인하였다. 업무 범위는 4개 중 3개 요소가 1사분면(약물조정)과 2사분면(환자 상담, 다학제팀의료)에 위치, 중요도가 높은 업무 형태 요소임을 알 수 있었다. 업무 실시 시점은 평균 이상의 수행도가 두드러지는 요소였으며(1사분면 2개, 4사분면 2개), 업무 지표는 중장기적 접근이 필요한 업무 요소인 것으로 분석되었다. 4개 요소 중 2개인 ‘업무 시간’과 ‘만족도’가 3사분면에 위치하였다(Fig. 1).
업무 범위의 상세요소 분석 결과 ‘약력 검토’ 업무 21개 요소는 3사분면에 가장 많이 위치하여(9개) 중장기적 접근이 필요함을 확인하였다. 업무 형태 IPA 분석에서 2사분면에 위치, 집중노력이 요구되는 ‘환자 상담’의 경우 중요도가 높은 1, 2사분면에 다수분포하였고, ‘상담내용’ 중 ‘동기부여’ 요소가 2사분면에 위치하였다. 업무 형태의 또 다른 2사분면 요소였던 ‘다학제팀의료’ 업무는 ‘세미나’, ‘약물조정 관련 약사검토 의견’ 요소가 2사분면에 분포하였다. 업무형태 IPA 분석에서 1사분면에 위치한 ‘약물 조정’ 은 20개 요소 중 10개가 1, 2사분면에 위치하였다(Fig. 2).
3. 업무 범위 수행요소 우선순위 분석: AHP 설문
가중치 합산이 상위 50%를 차지하는 요소 중 IPA 분석에서 수행도가 높았던 요소는 ‘약력 검토’의 ‘사용 자료원’ 중 ‘원내전산(가중치, 우선순위/IPA사분면 0.209, 1/1)‘, ‘처방전 (0.201, 2/4)’, ‘실물약 (0.173, 3/1)’이었고, ‘의약품 카테고리’ 중 ‘처방받은 약품(0.443, 1/4)’, ‘prn의약품(0.183, 2/1)’, ‘리포트 제공 시점’ 중 ‘입원시(0.355, 1/1)’, ‘리포트 제공 대상’ 중 ‘의료진(0.489, 1/4)이었다. ‘환자 상담’에서는 ‘대상환자 선정 기준’ 중 ‘투여 약품(0.394, 1/4)’, ‘진료과 컨설트(0.338, 2/1)’, ‘상담 내용’ 중 ‘복용법, 이상반응 등(0.518, 1/1)’이었다. ‘약물 조정’에서는 ‘의료진 의사소통 수단’ 중 ‘원내메신저(0.322, 1/1)’이었다. AHP 분석으로 높은 우선순위를 보였으나 수행도가 낮은 ‘약력검토’와 ‘다학제팀의료’의 상세요소에 각각 포함된 ‘약사검토 의견(각각 0.347, 0.450)’ 요소는 모두 2사분면에 위치하였던 바, 업무 개선을 위해 집중 노력을 고려해야 할 필요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Table 6). 약물 조정 내용에 관련한 13개의 하위 요소를 함께 우선순위 분석한 결과 업무 요소별 가중치의 우위가 나타나지 않아 추가 하위 분석을 시행하였다. 중요도와 수행도가 모두 높은 1사분면에 위치한 3개 요소는 ‘이상반응(0.340)’, ‘효능군 중복(0.334)’, ‘환자 상태에 맞는 약품 선택(0.326)’ 순의 우선 순위를보였다. 2사분면 요소는 ‘복용이력과의 불일치 여부(0.371)’, ‘노인주의 의약품(0.328)’, ‘상호작용(0.301)’ 순이었다. 3사분면은 ‘약물 치료와 관련한환자의 증상·징후’ 요소가 특히 높은 가중치를 보였다(0.410). 4사분면의 경우 ‘처방누락(0.295)’과 ‘용량(0.280)’이 높은 순위를 차지하였다(Table 7).
4. 주요 수행항목 도출
IPA 분석과 AHP 분석을 통하여 입원환자의 약품 검토 및 조정 업무의 주요 수행 항목을 도출하였다. 설문조사 결과 응답 중요도 평균이 4점 이상인 경우 ‘높은 중요도1’, 수정된 IPA 분석 결과 상대적 중요도가 높은 1,2사분면에 위치하는 경우 ‘높은 중요도2’, 그 외 사분면 중 현재 수행도가 높은 4사분면에 해당하는 항목을 ‘높은 현재 수행도’로 하여 각 항목에 해당하는 업무 상세요소를 각각 체크하고 항목당 체크 요소가 2개 이상인 경우 주요 수행항목으로 간주하였다. 22개의 업무 형태 요소 중 12개의 요소를 주요 수행항목으로 도출하였으며, 업무 범위와 업무 실시 시점의 요소들이 대부분 주요 수행항목으로 선택되었다(Table 8).
업무 범위 51개 요소 중 주요 항목을 도출하는 과정은 업무 형태 요소의 도출 방법에 더하여 AHP 분석 결과를 추가 반영하였다. 4개의 선택 기준 중 2개 이상 선택된 경우를 주요 수행항목으로 정의하였고, 총 33개의 항목이 도출되었다. ‘환자 상담’ 업무는 7개 요소 중 한가지를 제외하고 모두 주요 수행항목에 포함되었고, ‘약물 조정’ 업무 중 ‘약물 조정 내용’ 역시 ‘환자 경제적 문제’를 제외한 모든 항목이 포함되었다(Table 9).
입원환자는 만성질환 여부와 무관하게 현재 통원치료가 불가한 의학적 문제를 가지며, 전문적 치료가 필요한 상황을 맞이한다. 입원 기간 중 치료지침에 따라 단기간 투여하는 약품이 특정일 동안만 투여되기도 하고, 새로 겪은 의학적 문제로 인하여 복용해오던 약품이 변경되는 일이 생기기도 한다. 따라서 입원기간 중 발생되는 다양한 치료과정변화에 따른 약사의 약품처방 검토 및 적절한 중재가 매우 필요하다. 국내의 병원 약제부서에서는 이러한 입원 환자의 특성을 고려하여 이미 다양한 중재활동을 수행하고 있으며, 신기능 저하 환자의 처방 검토, 항생제 투여 환자의 처방 검토, 약물 이상반응 등 특정 영역에 집중한 처방검토 및 중재에 대한 성과 등이 보고되었다.14)-16) 2019년 발표된 국내 병원약사의 중재활동과 성과에 대한 체계적 문헌고찰 연구에 따르면 병원약사의 중재활동은 건강증진과 의료비 절감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는 것으로 경제성 평가 실시 결과 확인되었다.17) 그러나 입원한 모든 환자의 처방 적절성을 환자 상태와 치료 경과를 고려하여 확인하기에 현실적으로 어려운 측면이 있다.
본 연구의 FGI 과정에서 수집된 답변에 의하면, 많은 기관의 약제부서는 입원환자의 약품 검토 및 조정 업무를 조제·검수 등 실물약을 불출하는 과정에 겸하고 있었다. 이러한 환경은 환자경과 기록 등을 고려한 처방 적절성 확인을 위한 실시간 의무기록 열람 접근성 부족과 촉박한 시간 등으로 업무 수행의 완성도를 낮추게 된다. 조제업무와 병행하지 않고, 환자 이력을 고려하며 독립적인 처방 검토를 수행하는 업무절차가 마련된 기관도 있었으나 주어진 시간이 부족하였다. IPA 분석 결과에서도 양상은 같았다. 중요도에 비하여 낮은 수행도 평균 결과를 보여, 업무를 폭넓게 수행하기에 현실적인 어려움이 있는 것을 알 수 있었다. 21개 업무 형태의 평균 중요도가 4.08로 응답한 것에 비해 수행도 평균은 2.63이었고, 업무 범위 52개 요소는 중요도 4.21과 수행도 2.81로 업무와 그에 따른 상세요소에 대하여 중요성을 인식하는 것에 비하여 수행 정도가 떨어지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이처럼 높은 중요도 인식 정도에 비하여 수행 정도가 낮은 현황은 FGI 참여 약사들이 언급한 ‘업무 장벽’ 요소들이 원인일 수 있다. 참여 약사 다수가 언급한 대표적인 업무 장벽은 인력운영 관련 문제였다. 2022년 발표한 병원 약사 표준업무 수행 평가를 통한 인력 기준지표 개발 연구에 따르면 입원환자 100명당 인력 FTE (Full-Time Equivalent)는 7.19 FTE이며 입원조제 환자의 처방 검토는 0.36FTE, 약물조정서비스는 0.06FTE로 각각 전체 업무의 5.0%와 0.8%의 인력 기준이 배분되어 있었다.18) 이와 같은 현황은 인력 공백 시 수행가능한 약사 인력의 안정적인 운영에 어려움이 있을 가능성에 대하여 시사한다. 또한, 앞에서 기술하였듯이 처방 검토 업무 형태가 실물약 불출과정에 겸하여 이루어지는 상황은 업무 수행 여부를 더욱 낮추는 요인으로 작용할 수 있다. 그 외에 수집한 수행도를 낮출 수 있는 업무 장벽 요소로서 업무 담당자의 개인별 역량 차이, 약제부서 내부의 인식 차이와 전산시스템의 미비가 있었다.
관련 인프라 조성이 이와 같은 업무 장벽을 낮추는 데에 도움이 될 수 있는데, CDSS를 활용한 처방 검토 효율성 향상, 업무 표준화를 통한 담당자의 역량 차이에 따른 결과 개선 등이 방법이 될 수 있다. 2019년 발표한 ’중환자실 임상약사의 약물처방 검토 시 필요한 필수점검 항목 개발’ 연구에 따르면, 중환자 약료 업무의 처방 검토 필수항목 개발 후 중환자 전문 약사와 신규약사 간의 처방 검토 일치도를 확인한 결과 99.3%의 일치도를 보였음을 확인하였다.19) 이렇듯 업무의 표준화는 업무 질 유지에 긍정적인 결과를 미칠 수 있으므로 본 연구결과를 활용한 입원환자 처방검토 및 약물조정의 기관별 업무 표준화 작업을 이행하면 수행도를 개선할 수 있을 것으로 생각한다. 또한, 국내 병원 약제부서에 빠르게 도입되고 있는 다양한 조제 자동화 기기들은 조제 및 약품관리에 소요하는 시간을 단축시키고 있어 업무 효율을 크게 향상시키고 있다.20)-22) 자동화로 인하여 재구성할 수 있게된 근무 인력의 시간 분배를 환자 중심의 약료서비스로 환원하는 전략 또한 본 연구의 수행도를 개선할 수있는 방안이 될 것이다. 업무 환경은 법적 근거나 인증 기준이 근거 되었을 때 더욱 개선될 수 있다. 현재약사법 상에 언급된 처방확인, 복약지도 등의 약사 업무는 협의의 개념이고, 국내 의료기관 평가인증에 언급된 의약품관리 항목 중 조제 전 처방감사와 관련한내용 역시 약품간 상호작용 등에 대한 매우 협소한 의미를 갖고 있으며, 환자중심의 포괄적 약품사용검토및 평가 및 효과 등에 대한 기준이 없어 변화하고 있는 약사 업무를 반영한 법적 근거나 인증 기준의 추후마련이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본 연구에서 시행한 두 개의 설문조사는 중요도와 우선순위 등 설문 답변자의 주관적 의견이 반영될 수 있는 구성이므로, 기관과 응답자 개인의 관련 업무에 대한 인식과 경험에 대한 정보를 고려해야 한다. 이를 위하여 설문 시 의료기관의 규모와 지역, 기관 및 개인의 업무 수행 경험과 근속년수를 수집하였다. 이 중 관련 업무 경험을 확인하기 위한 ‘귀하는 다제약물관리사업이나 입원환자의 약물 조정업무의 실무를 담당한 경험이 있습니까?’ 문항의 응답 결과 ‘아니오’로 답한 응답자의 비율이 IPA와 AHP 분석 각각 56.4 %, 58.7%로 다소 많이 차지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그러나 해당 응답자 중 기관의 다제약물관리사업 수행경험이 있는 경우나, 근속년수 10년 이상의 비교적 긴 업무경력을 가진 인원을 제외하였을 때의 나머지 인원이 각각 5인이었으며, 주관적 평가의 성향을 가진 중요도 설문 결과를 문항 결과에 따른 두 그룹으로 나누어 평균 비교하였을 때 73개 문항 중 15개 요소에서 평균의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으나, 이 중 한 가지 요소를 제외하고 두 그룹의 평균이 각각 모두 4점 이상으로 평가되었으므로 해당 응답자의 답변이 본 연구 결과의 흐름과 다르지 않을 것이라고 판단하였다.
이번 연구에서 적용한 IPA 분석결과를 업무 적용에 대한 전략 구성에 활용할 때, 사분면의 의미 해석에는 주의가 필요하다. 설문조사를 통하여 많은 기관이 답변한 각 업무들의 중요도는 대부분 4점 이상이었기 때문에 실질적으로 도출된 상세요소들 중 등한시해야 할 항목은 없다. 또한 기관별 업무 수행 환경이나 절차가 갖춰진 수행 요소의 현황도 다를 수 있으므로, 본 연구 결과의 요소를 일괄적으로 적용할 필요는 없다. 다만 상세한 업무 요소의 지침이 없는 상황에서 다양한 업무 요소를 기관 상황에 맞추어 순차적이고 안정적으로 적용할 수 있는 지침으로 활용할 수 있을 것이다. IPA 사분면의 1, 2사분면의 경우 중요도가 높은 요소들인데, 그 중 1사분면 요소는 수행도와 중요도가 모두 높아 현행 유지하며 수행 수위가 낮아지지 않도록 유의해야 할 요소들이다. 2사분면 요소는 수행도가 아직 낮지만 중요도가 높은 것으로 인식되는, 비교적 최근 중요성이 대두된 요소들이 다수 차지하였는데 대상 환자 기준으로 다약제 환자를 고려하는 것과 약력 검토 사용 자료원으로서 환자 인터뷰를 진행하는 것, 환자 상담 요소로 동기 부여를 포함하는 것, 약물 조정 내용에 노인주의의약품과 복용이력과의 불일치 여부를 확인하는 것 등이 포함되었다. 특히나 환자 상담은 과거부터 수행해온 약사 직무이지만,지도의 개념에서 상담의 개념으로 패러다임이 변화하고 있는 대표적인 영역이다. Chevalier 등이 연구한호주의 3차 병원에 근무하는 병원 약사들을 대상으로수행한 FGI 결과 환자 상담의 목표는 환자와 라포를형성하는 것, 환자에게 자율성과 주체성을 심어주는것과 환자의 건강과 안전을 증진시키는 것으로, 이를위한 약사의 역할은 평가자, 교육자, 문제 해결자 등으로 기술하고 있다.23) 본 연구에서도 환자 상담의 수행 요소 중 동기 부여 요소가 2사분면에 위치하여 지식을 전달하는 목적의 교육에서 자기 효능감을 높이는 환자 중심의 상담으로 인식이 변화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3, 4사분면에 위치한 요소들은 상대적인 중요도가 낮지만, 중요하지 않거나 수행의 필요성이 없는 요소들이 결코 아니다. 게다가 본 연구에 포함된 업무 상세요소들은 국내·외 문헌 자료를 수집 후 작성한, 이미 입원환자의 약품 검토 업무로 포함할 객관적 근거가 있는 항목들이었다. 따라서 본 연구 결과로 분류된3, 4사분면의 요소를 업무 절차로 배제하기 보다는,절차를 수립해야 하는 요소로서 고려해야할 후순위업무로 분류하는 것이 본 연구 결과의 적절한 활용방안일 것이다. 특히나 4사분면은 수행 정도는 높으나산출된 상대적 중요도가 낮은 요소들인데, 업무 수행환경이 비교적 갖춰진 업무들이 많았고, 우선 순위 분석을 수행한 업무 범위의 하위 요소는 1,2번째의 높은 우선순위를 갖는 항목도 다수 있었다. 평균 수행도가 전체 평균 수행 정도보다 높다는 것은 현재 다수의기관에서 수행하고 있다는 점을 의미하며, 이를 감안하였을 때 업무 요소로서 간과하지 않아야 할 주요 요소로 생각할 수 있다. 3사분면은 장기적인 계획을 가지고 점진적으로 개선이 필요한 요소들이다. 두드러지는 점은 타 의료기관과의 정보연계에 관련한 요소가 많이 포함되어 있다는 것인데, 약력 검토 리포트제공을 퇴원·전원 시 제공하는 것, 치료이행시점에타기관 의료진에게 약력 검토 결과기록을 제공하는것, 약력 검토 시 타기관 제공 정보를 활용하거나 공공데이터를 활용하는 것 모두 관련된 요소이다. 즉,기관의 유기적 연결로 환자가 기관을 옮겨가며 진료를 받을 때에도 오로지 환자의 진술에 의존하지 않고,전문가에 의해 작성된 신뢰도 있는 기록지를 공유할수 있는 제도적 장치가 필요하다.24)
업무 범위의 우선순위 분석 결과는 업무 상세요소의 주요 수행항목을 결정하는 데에 추가적인 근거로 활용되었다. 약력 검토, 환자 상담, 다학제팀의료, 약물 조정의 네 가지 업무 중 약력 검토와 약물 조정이 입원환자의 약품 검토 및 조정 업무의 큰 축으로 작용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약력 검토 업무는 약력 확인을 위해 사용하는 자료원과 검토결과를 제공하는 시점이 주요 업무 요소로 인식되었는데, 여러 치료이행 시점 중 입·퇴원 시점에 결과를 제공하는 것이 주요 수행 요소로 선택되었다. 약력 검토 과정은 앞서 문헌고찰 결과에서 확인했듯이 입원환자 약품 검토 업무의 첫 단추이다. 입원 직전에 복용해온 약력을 최대한 정확하게 확인하여 목록을 작성해야 현재 상태에 맞게 치료계획을 수립할 수 있다.
본 연구는 입원환자 약품 검토 및 조정 업무의 상세 수행 요소에 대하여 의료 기관의 약제부서별 수행 현황과 중요도를 정성적·정량적 분석 과정으로 도출했다는 것에서 의의를 가진다. 정성적 분석 과정으로 도출한 상세요소들에 대하여 응답이 복잡하지 않은 리커트 척도의 설문 기법으로 중요도와 수행도를 정량적으로 수집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주요 업무 요소를 결정하고, 업무 요소별 향후 전략을 그룹별로 나누어 제시하였다. 본 연구로 도출된 결과는 기관 상황에 따라 다양한 업무 요소를 한꺼번에 실무 적용하기 어려운 경우 순차적으로 업무를 진행해 나아갈 때 근거자료로 활용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나 설문 응답 기관수가 적고, 상급종합병원과 종합병원이 주를 이루는응답을 토대로 작성한 결과자료라는 점은 본 연구의한계점으로 작용한다. 그렇지만 본 연구의 업무 요소에 대하여 중요도와 수행 정도를 판단할 수 있는 시야를 가지고 있는 기관의 의견을 분석한 결과인 것으로 미루어 추후 규모가 더 작은 기관이나, 업무를 수행하지 못하는 기관에서도 본 연구결과를 토대로 순차적으로 적용해 볼 수 있으리라 생각한다.
한국병원약사회에 소속된 의료기관을 대상으로 실시한 설문조사 결과를 바탕으로 입원환자의 약품검토 및 조정업무에 대하여 중요도와 수행도 인식, 우선순위를 분석하였다. 이를 통해 업무 요소 및 상세요소를 도출하였다. 업무 요소는 업무분장, 수행약사의 자격 요건, 대상 환자 기준, 업무 범위, 업무실시 시점, 업무 지표로 분류하였고, 이 중 업무 범위는 약력검토, 환자 상담, 다학제팀의료, 약물 조정으로 세분화하였다. 업무 범위는 약력 검토와 이를 통한 약물 조정 업무로 대표할 수 있으며, 그 외에도 주요 수행 항목의 요소들을 도출함으로써 기관별 업무 프로세스를 정립할 수 있는 근거를 마련하였다.
별도의 법적 근거나 인증 기준, 수가 적용이 없는 현재의 환경에서 약품 검토 및 중재 업무만을 단독으로 수행하는 인력을 지정하기에는 운영의 어려움이 있다. 그러나 업무의 중요성에 대한 공감대는 형성되어 있는 바, 조제업무와 겸하여 수행하거나, 근무 시간의 일부만 할애하여 수행하는 방식으로 유지해온 것이 현재 여러 약제부서의 현실이다. 의료 패러다임이변하는 시기에 맞추어 수가 신설이나 공인된 기준이고려되어야 한다. 이러한 측면에서 여러 의료기관에서 입원환자의 약품 검토 및 중재에 관련한 다양한 세부 업무 요소를 정립해 나가는 노력은 환자 안전과 치료결과 향상의 성과로 이어질 수 있을 것이다. 또한,다제약물관리사업의 수행 유지와 사업의 점진적 발전도 긍정적인 점으로 작용하고 있어 해당 사업에 대하여 약사 주도의 업무절차를 공고히 하여 입원환자에대한 약사 전문성 제고에 이바지할 필요가 있다.
본 연구는 (재)병원약학교육연구원의 2023년도 제25회 병원약학 연구논문(지정주제) 지원으로 수행되었습니다.
(1,2: Criteria for task assignment division, 3,4: Requirement for performing pharmacist, 5~9: Patient Selection, 10~13 Task scope, 14~18: Timing of work implementation, 19~22: Key performance indicators)
(Medication history review/ 1~6: Used Resource, 7~11: Medication category, 12~15: Point in time of report providing, 16~18: Report content, 19~21: Individual report provided, Patient counsel/ 22~24: Patient selection, 25~28: Consultation content, Multidisciplinary team involvement/29~31, Medication reconciliation/ 32~44: Content, 45~47: Method of recording and sharing the result, 48~51: Communication method with medical staff)
- 이용석. 노인다약제 사용환자의 의약품 안전관리: 2021 서울특별시의회 연구용역 최종보고서: 2021.
- 김동숙, 윤상헌, 조호진 et al. 노인의 다약제 사용 관리방안: 2022.
- 김정하, 장선미, 이세영 et al. 다제약물 관리사업 제도화 방안 마련 연구. 국민건강보험공단 연구용역 최종보고서: 2022.
- Kim J, Baek S, Choi N et al. Clinical pharmacist services in general wards and perception and expectation of healthcare providers towards the services at a tertiary healthcare center. Korean J Clin Pharm. 2022;32(1):20-6.
- Ko KM, Hirata Sumiko, Choi S et al. The Evaluation of Clinical Pharmacy Services in an Educational Hospital. J. Kor. Soc. Health-syst. Pharm. 2017;34(4):390-400.
- Gwak MG, Geum MJ, Ko JH et al. Current Status of Polypharmacy Counseling for Elderly Patients in a Tertiary Hospital. J. Kor. Soc. Health-syst. Pharm. 2023;40(1):97-109.
- Jang H, Hwang H, Jang S et al. Effects of Medication Reconciliation System on Patient Safety Management. J. Kor. Soc. Health-syst. Pharm. 2010;27(2):119-31.
- Han J, Jung H, Kim S et al. Necessity of Transition of Care Pharmaceutical Service Based on the Effectiveness of Discharge Medication Reconciliation. J. Kor. Soc. Health-syst. Pharm. 2021;38(3):306-18.
- World Health Organization. The High 5s Project Medication Reconciliation Implementation Guide [internet]. 2014 Oct [cited 2024 Apr 1]. Available from: https://cdn.who.int/media/docs/default-source/integrated-health-services-(ihs)/psf/high5s/h5s-guide.pdf?sfvrsn=3bbdb46a_4..
- Yusoff MSB. ABC of content validation and content validity index calculation. Education in Medicine Journal. 2019;11(2):49-54.
- Martilla JA, James JC. Importance-performance analysis. J. Market. 1977;41(1):77-9.
- Deng W. Using a revised importance- performance analysis approach: The case of Taiwanese hot springs tourism. Tourism Management. 2007;28(5):1274-84.
- Golden BL, Wasil EA, Harker PT. The analytic hierarchy process. Applications and Studies, Berlin, Heidelberg. 1989;2(1):1-273.
- 이유정, 최인화, 김세지 et al. 신기능 저하 환자에 대한 약사의 처방검토 및 처방중재 업무 소개. J. Kor. Soc. Health-syst. Pharm. 37(2):219-27.
- 이미란, 유미선, 박혜순 et al. 항균제 적정 사용을 위한 약사의 처방감사 및 중재활동. J. Kor. Soc. Health-syst. Pharm. 2020;37(2):209-13.
- Park T, Kim Y, Jung Y et al. The Comparison Analysis of the Prevention of Adverse Drug Events through Order Interventions by Designated-pharmacists. J. Kor. Soc. Health-syst. Pharm. 2014;31(1):638-43.
- Lee SY, Cho E. A Systematic Review of Outcomes Research in the Hospital Pharmacists' Interventions in South Korea. Korean J Clin Pharm. 2019;29(3):193-201.
- 김경자. 병원약사 표준업무 수행을 위한 의료기 관 약사 인력 관련 법 개정 방향 연구. J. Kor. Soc. Health-syst. Pharm. 2023;40(1):5-46.
- Sohn YM, Park HJ, Chung JE et al. Development of an Evidence-based Essential Checklist for the Critical Care Pharmacist. J. Kor. Soc. Health-syst. Pharm. 2019;36(1):26-46.
- 김태중, 이현주, 홍수연 et al. 자동화 의약품 공급 캐비닛의 사용 현황 평가 [internet]. 한국병원약사회 2021 온라인 추계학술대회;2021. 11.19-12.13. [cited 2024 Apr 1]. Available from: https://download.kshp.or.kr:444/download.asp?filename=/upload/abstract/A-18-%B1%E8%C5%C2%C1%DF(%BB%EF%BC%BA%BC%AD%BF%EF%BA%B4%BF%F8)(0).pdf.
- 윤혜진, 최수희, 차윤영 et al. 주사약 자동조제시스템(ADS) 도입을 통한 주사약 조제 프로세스 개선 및 환자 안전 도모 [internet]. 한국병원약사회 2021 온라인 추계학술대회;2021. Nov 19- Dec 13. [cited 2024 Apr 1]. Available from:https://download.kshp.or.kr:444/download.asp?filename=/upload/abstract/P-57-%C0%.
- 황혜정, 강지만, 김경선 et al. (2022.11) 주사약 자동분배 시스템(ADS) 도입과 업무 정착 과정 소개 [internet]. 한국병원약사회 2022 추계학술대회;2022 Nov 19. [cited 2024 Apr 1]. Available from: https://www.kshp.or.kr/board/symposium_abstract_viw.asp?nbidx=2340&SearchY-ear=2022&Page=9&Mode=nlist.
- Chevalier BA, Watson BM, Barras MA et al. Hospital pharmacists' perceptions of medication counseling: A focus group study. Research in Social and Administrative Pharmacy. 2016;12(5):756-71.
- 오정미, 한나영. DUR 고도화를 위한 발전방안. 의료정책포럼. 2020;18(1):48-53.
Related articles in JKSHP
Article
원보
J. Kor. Soc. Health-syst. Pharm. 2024; 41(2): 151-182
Published online May 31, 2024 https://doi.org/10.32429/jkshp.2024.41.2.005
Copyright © The Korean Society of Health-system Pharmacists.
Enhancement of Inpatient Medication Review and Reconciliation through Standardization of Pharmacist Practice: Focusing on the Management of Outpatient Medication upon Admission and Polypharmacy
JaeEun Hana, Hyeryun Junga, Daeun Kima, Younghee Leea, Jin Ok Kyuna, Jin Gyeong Kimb, Dae Bok Nahb and Yun Mi Yuc†
Department of Pharmacy, Ajou University Hospital 144 World cup-ro, Yeongtong-gu, Suwon-si, Gyeonggi-do, 16499, Republic of Koreaa
Department of Pharmacy, The Catholic University of Korea, Uijeongbu ST. Mary’s Hospital 271 Cheonbo-ro, Uijeongbu-si, Gyeonggi-do, 11765, Republic of Koreab
College of Pharmacy, Yonsei University 85 Songdogwahak-ro, Yeonsu-gu, Incheon, 21983, Republic of Koreac
Correspondence to:†Yun Mi Yu Tel:+82-32-749-4505 E-mail: yunmiyu@ yonsei.ac.kr
Revised: April 9, 2024
Accepted: April 22, 2024
Abstract
Background : Reflecting the reality of the absence of standardized guidelines for the specifics and procedures of inpatient medication review tasks conducted by pharmacists in hospitals, it is now imperative to define key elements by assessing the current situation and awareness.
Methods : We analyzed pharmacists’ inpatient medication review and reconciliation tasks to establish standard elements, including the core concept. General-purpose recommendations were derived from a survey on the current status and awareness of these elements. Literature and guideline research, along with a focus group interview, helped to derive detailed task elements. A survey assessed task element priorities and institutional performance, with key items determined from the results.
Results : Thirty-nine organizations participated in the importance-performance survey, and 46 organizations participated in the priority survey. Most task elements were evaluated with low scores for performance compared to importance awareness. The task elements were classified into “division of task,” “qualification requirements for pharmacists,” “patient selection,” “task scope,” “timing of work implementation,” and “task index.” Twelve of 22 elements were derived as key tasks (e.g., task scope and timing). The task scope was subdivided into medical history review, patient counseling, multidisciplinary team involvement, and medication reconciliation. A total of 33 of 51 task elements were identified as major performance items (e.g., medication review and reconciliation).
Conclusion : Based on the study results, major tasks were derived for the medication review and reconciliation of hospitalized patients. Recognized standard guidelines should be considered as the medical paradigm changes. In this regard, efforts to establish various task elements can improve patient safety and treatment outcomes.
Keywords: Standardization of pharmacist practice, Medication history review, Medication reconciliation
Body
입원을 목적으로 의료기관을 방문하는 환자는 의학적 문제 해결을 위하여 수일의 기간이 요구되는 경우로, 기저질환이 있거나 복용 약제를 지참하고 내원하는 경우도 빈번하여 약사는 입원 중 추가 처방된 약품은 물론 과거에 복용해온 지참약의 적절성을 함께 검토해야 한다. 특히 다약제 복용 환자는 고령이거나 복합적인 기저질환을 동반한 경우가 많아 입·퇴원을 반복할 수 있고, 여러 의료기관을 이용하기도 한다.1) 2022년 건강보험심사평가원의 ‘노인의 다약제 사용 관리방안’ 연구결과에서는 5개 미만의 의약품 사용 환자에서 투약관련 위해가 발생하는 비율이 10.1%인 반면, 5~9개, 10개 이상의 환자군에서는 각각 13.9%, 18.0%로 증가함을 보고하였다.2) 따라서 다약제 복용 환자의 입원 전 이력을 포함한 포괄적인 약품 검토가 필요하다.
한국병원약사회는 2021년 국민건강보험공단(이하, 건보공단)의 올바른 약물사용을 위한 시범사업인 ‘다제약물관리사업’을 약사 주도로 긴밀히 협력 수행하기 위하여 건보공단과 업무협약(MOU)을 체결하였고, 그 결과 2020년부터 실시한 다제약물관리사업 병원모형의 참여 병원 규모는 2020년 1차의 7개 병원에서 MOU 이후 2021년에 35개 병원의 병원 약사들이 참여하여 그 규모가 대폭 확대되었으며, 2024년 현재까지도 참여병원이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다. 이러한 병원 약사들의 사업 참여 결과로 응급실 방문이나 재입원 위험을 감소시키는 등, 환자 안전 측면에서 긍정적인 효과가 발표되었다.3) 건보공단의 다제약물관리사업은 현재 시범사업으로 진행 중이나, 표준화된 업무 절차를 제공하고 수행한 업무에 대하여 별도의 수가를 지급하는 방식이어서 기존에 약물 조정 업무나 약료서비스를 수행하지 않던 기관에서도 사업 참여 접근성이 좋은 이점이 있다. 또한, 이러한 업무 환경은 서비스 대상 환자와 관련 의료진 사이에서 약사 역할의 필수성과 중요성에 대한 인식을 제고하여 사업이 지속되고, 확대되는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다제약물관리사업의 업무절차와 같이 입원부터 퇴원시점까지 입원기간 전반에 걸쳐 포괄적인 약사의 검토와 상담 및 조정업무를 정규업무로 유지하기에는 현실적 한계가 있으나, 국내 의료기관의 약제부서에서는 입원환자의 안전한 의약품 사용을 위하여 지참약 관리를 포함한 다양한 형태의 약물 조정업무를 부분적으로 시행하고 있다.4)-8) 그러나 현재 약물 조정업무의 상세 내용 및 절차에 대한 표준 지침서가 부재한 상황에서 의료기관마다 업무 절차와 범위에 편차가 있을 것으로 예상되며, 현재까지 상세 업무 흐름이나 서비스 범위를 확인한 연구도 미비한 상황이다. 2025년 초고령사회로의 진입을 앞둔 시점에서, 노인주의 의약품의 복용과 다약제 복용에 관련하여 사회적인 관심이 높아지고 있는 현재 흐름에 맞추어 병원 약제부서의 업무 또한 새롭게 정비하고 적절한 업무를 제공할 필요가 있다. 즉, 국내 병원약사의 입원환자 의약품 검토 업무에 대한 현황파악과 성과도출을 위한 명시적인 절차의 수립이 필요한 시점이다. 따라서 본 연구를 통하여 국내·외 약물 조정업무 현황과 관련 기준 및 법규를 조사하고, 국내 병원 약사의 약물 조정업무 상세요소를 구성하며, 실무 현황을 반영한 주요 상세항목을 도출하여 실무적 표준업무지침의 요소를 제안하고자 한다.
연구방법
1. 연구설계
약사의 입원환자 약품 검토 및 조정과 관련된 업무 상세요소를 분석하여 중심 개념을 포함한 표준 직무요소를 도출하고, 해당 요소에 대한 현황 및 인식 조사를 통하여 실무 적용을 위한 범용적, 실용적 제언을 하고자 하였다. 관련문헌 및 지침을 조사하고 전문가 초점집단인터뷰(focus group interview, FGI)를 통하여 업무 상세요소를 도출하였고, 관련 학계와 산업계 전문가 자문을 통해 상세요소의 타당도를 확인하였다. 도출된 업무 상세요소의 우선순위에 대한 인식과 기관별 수행 현황을 확인하는 과정은 설문조사 형식으로 진행하였고, 설문 결과를 근거로 주요 상세 항목을 결정하였다.
2. 업무 상세요소 도출
4명의 참여 연구원들이 국제보건기구(World Health Organization, WHO)의 표준화된 프로토콜을 근간으로 한 국내외자료를 독립적으로 검토하여 1차적으로 업무 상세요소를 정리하였다.9) 다음으로 FGI에서 수집된 전문가 의견을 토대로, 업무 요소를 ‘업무분장’, ‘수행약사의 자격 요건’, ‘대상 환자 기준’, ‘업무 범위’, ‘업무 실시 시점’, ‘업무 지표’ 등 6개 요소로 크게 분류하였다. 그리고, 각각의 업무 요소에 대해 상세요소를 배치하였다. 이 중 ‘업무 범위’ 는 업무 완성도에 있어 가장 핵심적 요소라 판단하여, 4개 상세요소인 ‘약력 검토’, ‘약물 조정’, ‘환자 상담’, ‘다학제팀의료’ 각각에 대해 추가적인 하위 계층 요소를 구성하였다.
업무 요소 및 상세요소, 하위 계층 요소의 타당성 확인을 위하여 비대면 형식으로 전문가 패널 자문의견을 수집하였다. 각 요소의 내용 관련성에 대해 ‘매우 적합함(4점)’, ‘적합함(3점)’, ‘다소 적합함(2점)’, ‘적합하지 않음(1점)’의 4점 척도로 평가하고, 3점 이상으로 응답한 분율을 산출하는 content validation index (CVI)를 적용하였다. 기존 연구의 구성 인원에 따른 CVI 기준 값을 참고하여 CVI 값이 0.83 이상인 경우 타당도를 만족하는 것으로 간주하였다.10) CVI 값이 0.83 미만인 항목은 참여 연구원의 추가적인 논의로 항목 제외 여부를 최종 판단하였다.
타당성 확인 결과, 업무 요소는 업무 전반의 절차를 포함하며, 이상적인 업무모델 또는 현재 수행모델로 확인된 6개 업무 요소와 이와 관련된 상세요소 22개로 정리하였다. 또한, 업무 요소 중 ‘업무 범위’는 하위 단계로 4개의 상세요소 및 10개의 하위 계층 요소로 구성하였고, 하위 계층 요소에 관한 개념 요소를 총 51개로 정리하였다.
3. 설문조사 방법
본 연구는 2023년 10월 10일부터 10월 20일까지 한국병원약사회에 소속된 의료기관의 약제부서를 대상으로 하여 온라인 설문조사 방식으로 시행되었다. 한국병원약사회 소속 의료기관의 약제부서에 설문조사 모집문을 공고하여 연구참여자를 모집하였다. 참여 의사가 있는 연구대상자는 모집문에 삽입된 설문조사 링크주소를 클릭한 후 온라인으로 제시되는 연구설명문과 참여자 동의서를 읽고 참여 동의 항목을선택함으로써 자발적인 참여 동의 의사를 밝힌 후 참여가 가능하도록 하였다. 모든 연구참여자는 연구 도중에 자유롭게 연구 참여에 대한 동의를 철회할 수 있음을 이해한다는 동의를 한 후에 참여할 수 있도록 하였다. 본 설문조사는 관련 링크주소를 통한 온라인 설문 참여형식으로 진행하여 연구자가 응답자를 특정할수 없도록 하였다.
4. 설문내용
설문내용은 다음과 같이 기초정보, 업무 요소의 중요도-수행도, 업무 범위의 우선 순위에 관한 문항들로 구성하였다.
1) 기초 정보
기초정보로서 응답자 의료기관의 종별 구분, 병상 규모, 지역, 다제약물관리사업 참여 여부를 수집하였고, 응답자 개인의 관련 업무 경험 여부와 병원 약사로서 근속년수를 수집하였다.
2) 업무 요소의 중요도-수행도
업무 요소의 중요도-수행도를 확인하기 위하여 중요도-수행도 분석(Importance-Performance analysis, IPA)을 활용하였다. 설문 문항은 IPA 설문 문항에 맞추어 중요도(중요하지 않음~중요함)와 수행도(수행하지 않음·못함~수행함)를 각각 5점 척도로 답하는 두 개의 문항으로 구성하였다.
3) 업무 범위의 우선순위
우선 순위의 분석은 계층화분석법(Analytic Hierarchy Process, AHP)을 활용하였다. AHP는 계층화된 각 항목에 대하여 쌍대비교한 설문조사 결과를 이용하여 가중치를 평가하고 가중치 순위에 따라 중요도를 산출하는 방법이다. ‘업무 범위’ 하위 항목인 51개 개념 요소에 대하여 시행 중요도 우선순위를 묻는 문항을 구성하였고, 쌍대비교한 5점 평가척도의 설문으로 작성하였다.
5. 통계분석
1) 업무 요소의 중요도-수행도 분석
설문 항목별 중요도와 수행도의 평균값을 중심축으로 채택한 사분면에 표기하고 현상유지(제 1사분면), 집중노력 요구(제 2사분면), 중장기적 접근(제 3사분면), 과잉노력 지양(제 4사분면) 요소의 분포를 확인하였다.11) 본 연구는 설문 결과의 평균값을 직접 적용하여 분류하는 전통적 방식의 IPA (traditional IPA)와 전통적 IPA의 한계를 보완한 수정된 IPA (revised IPA) 분석방법을 적용하였다. 이 중 수정된 IPA는 Deng이 제안한 방법으로, 수행도를 자연로그로 변환한 후 전반적 수행도와 편상관분석을 통한 편상관계수를 산출하여 이 결과를 내재적 중요도(implicit importance)로 설정한 후 이를 y축으로, 직접 설문 응답 결과인 수행도를 x축으로 사분면을 구획하고 각 요소를 분류하는 방법이다.12) 5점 척도로 응답한 73개의 문항의 중요도와 수행도의 평균값을 t-test를 통해 비교하여 중요도와 수행도 사이의 차이를 확인하였다. 이후 두 방식의 IPA 사분면으로 결과 분석을 시행하였다. 통계분석 프로그램은 SPSS (IBM SPSS statistics Version 25.0)를 활용하였다.
2) 업무 범위의 우선순위 분석
설문응답의 신뢰도를 확인하기 위하여 일관성비율(consistency ratio, CR)을 산출하였다. 일관성비율은 우선순위의 논리적 모순을 측정하여 응답의 신뢰도를 평가하는 과정이며, 일관성 지수(consistency index, CI)를 무작위 지수(random index, RI)로 나눈 비율이다. AHP 분석을 적용한 기존 연구에서 통상적으로 일관성비율이 10% 이내이면 일관성을 갖는 응답, 20% 이내일 경우는 포함할 수 있는 범주의 응답으로 판단하는 것을 근거하여 본 연구에서도 일관성비율 20% 이내인 설문지만을 포함하여 분석을 진행하였다.13)
설문 결과를 취합하기 위하여 각 요소별 기하평균을 계산한 후 재구성한 쌍대비교 행렬 단일의 값을 통하여 상대적인 중요도를 계산하는 geometric mean pairwise comparison 방법을 활용하여 업무형태와 업무범위 하위 항목의 우선순위를 최종적으로 도출하였다. 업무범위 요소 중 ‘약물조정 내용’의 경우 하위 항목의 수가 13개로 우선순위 분석의 결과가 모호할 것으로 예상되어 IPA 분석으로 결정된 각 사분면의 항목을 묶어 사분면별 우선순위를 추가적으로 도출하였다. 분석 도구는 DRESS (1.7.00, CHOISH Software DRESS, Korea)를 활용하였다.
6. 연구대상자의 보호
본 연구는 아주대학교병원 기관연구윤리심의위원회 심의를 거쳐 승인 받았다.(승인번호: AJOUIRB-SB-2023-473)
연구결과
1. 응답자 특성
설문조사에는 업무 요소의 중요도-수행도 설문(이하 IPA설문)에는 39개 기관이, 업무 범위의 우선순위 설문(이하 AHP설문)에는 46개 기관이 참여하였다. 의료기관 종별 설문 회수율은 IPA설문과 AHP설문 각각 47개 상급종합병원의 44.7%(21건), 55.3%(26건), 229개 종합병원의 7.4%(17건), 8.3%(19건), 328개 병원의 0.3%(각각 1건)이었다. 두 설문 간 참여 병원의 종별 특성은 유사하였는데, 상급 종합병원이 과반수 이상(IPA설문 53.8%, AHP설문 56.5%)을 차지하였고, 다음으로 종합병원이었으며(IPA설문 43.6%, AHP설문 41.3%),병원은 두 설문 모두 1건으로 확인되었다. 지역은 서울과 인천·경기 지역의 응답이 IPA설문 23건(58.9 %), AHP설문 30건(65.2%)이었다. 다제약물관리사업을 참여한 경험이 있는 기관은 IPA설문 22건(56.4%), AHP설문 29건(63.0%)이었다. 응답자의 근무경력은 10년 단위로 그룹화 하였을 때 비교적고르게 분포하고 있었다(Table 1).
2. 업무요소의 중요도-수행도 인식: IPA 설문
1) 업무 요소와 업무 범위의 중요도-수행도 평가
대부분의 상세요소에서 중요도 대비 수행도를 낮은 점수로 평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22개 상세요소 중 가장 높은 중요도로 답한 요소는 ‘업무 범위’의 ‘약물 조정’이었다(mean±SD, 4.56±0.55). 가장 높은 수행도를 나타낸 요소는 ‘업무분장’의 ‘업무별 전담’ 방식과 ‘대상 환자 기준’의 ‘특정 약품 복용 환자’였다(mean 3.51). 평균 수행도 1점대의 낮은 수행도를 나타내는 요소는 ‘업무 범위’의 ‘환자 상담(1.90 ±1.02)’, ‘다학제팀의료(1.95±1.10)’, ‘업무 지표’의 ‘clinical outcome(1.46±0.91)’, ‘만족도(1.56±0.94)’ 였고, 이 중 중요도를 높게 인식하고 있는 요소는 ‘다학제팀의료(4.08±0.93)’이었다(Table 2).
업무 범위의 평가 결과도 업무 요소와 유사한 양상이 확인되었다. 중요도와 수행도 모두 4점 이상의평균값을 가진 요소는 ‘약력 검토’ 업무의 ‘사용 자료원’ 중 ‘실물약(중요도/수행도 평균 4.44/4.62, p=0.245)’, ‘원내전산(4.44/4.15 p=0.247)’, ‘의약품 카테고리’ 중 ‘처방받은 약품(4.67/4.36, p=0.085)’이었다. 4점 이상의 높은 중요도로 인식한 반면 1점대의 수행 정도를 보인 업무는 환자 대면으로 수행하는 동일한 성격을 지닌 두 요소로, ‘약력검토’의 ‘리포트 제공 대상’ 중 ‘환자·보호자(4.10/1.97)’와 ‘환자 상담’의 ‘대상환자 선정 기준’ 중 ‘환자 상태(4.13/1.74)’이었다(Table 3).
2) IPA로 도출한 업무 상세요소의 향후 전략
업무 상세요소 22개 요소를 IPA 분석 결과에 따라 사분면에 표현하였을 때, 수정된 IPA 분석에 따른 사분면 분포는 1사분면(현상유지) 8개, 2사분면(집중노력 요구)과 3사분면(중장기적 접근 요구)에 각각 5개, 4사분면(과잉노력 지양) 4개였다. 업무 범위는 1사분면 12개, 2사분면 12개, 3사분면 16개, 4사분면 11개의 분포 양상을 나타냈다(Table 4, 5).
업무 상세요소의 수행약사의 자격 요건 상세요소 2개는 모두 1사분면에 위치하였다. 대상 환자 기준의 5개 요소는 3사분면에 2개가 위치하여(노인환자, 특정병동·진료과 재원환자) 중장기적 접근이 요구되는 항목임을 확인하였다. 업무 범위는 4개 중 3개 요소가 1사분면(약물조정)과 2사분면(환자 상담, 다학제팀의료)에 위치, 중요도가 높은 업무 형태 요소임을 알 수 있었다. 업무 실시 시점은 평균 이상의 수행도가 두드러지는 요소였으며(1사분면 2개, 4사분면 2개), 업무 지표는 중장기적 접근이 필요한 업무 요소인 것으로 분석되었다. 4개 요소 중 2개인 ‘업무 시간’과 ‘만족도’가 3사분면에 위치하였다(Fig. 1).
업무 범위의 상세요소 분석 결과 ‘약력 검토’ 업무 21개 요소는 3사분면에 가장 많이 위치하여(9개) 중장기적 접근이 필요함을 확인하였다. 업무 형태 IPA 분석에서 2사분면에 위치, 집중노력이 요구되는 ‘환자 상담’의 경우 중요도가 높은 1, 2사분면에 다수분포하였고, ‘상담내용’ 중 ‘동기부여’ 요소가 2사분면에 위치하였다. 업무 형태의 또 다른 2사분면 요소였던 ‘다학제팀의료’ 업무는 ‘세미나’, ‘약물조정 관련 약사검토 의견’ 요소가 2사분면에 분포하였다. 업무형태 IPA 분석에서 1사분면에 위치한 ‘약물 조정’ 은 20개 요소 중 10개가 1, 2사분면에 위치하였다(Fig. 2).
3. 업무 범위 수행요소 우선순위 분석: AHP 설문
가중치 합산이 상위 50%를 차지하는 요소 중 IPA 분석에서 수행도가 높았던 요소는 ‘약력 검토’의 ‘사용 자료원’ 중 ‘원내전산(가중치, 우선순위/IPA사분면 0.209, 1/1)‘, ‘처방전 (0.201, 2/4)’, ‘실물약 (0.173, 3/1)’이었고, ‘의약품 카테고리’ 중 ‘처방받은 약품(0.443, 1/4)’, ‘prn의약품(0.183, 2/1)’, ‘리포트 제공 시점’ 중 ‘입원시(0.355, 1/1)’, ‘리포트 제공 대상’ 중 ‘의료진(0.489, 1/4)이었다. ‘환자 상담’에서는 ‘대상환자 선정 기준’ 중 ‘투여 약품(0.394, 1/4)’, ‘진료과 컨설트(0.338, 2/1)’, ‘상담 내용’ 중 ‘복용법, 이상반응 등(0.518, 1/1)’이었다. ‘약물 조정’에서는 ‘의료진 의사소통 수단’ 중 ‘원내메신저(0.322, 1/1)’이었다. AHP 분석으로 높은 우선순위를 보였으나 수행도가 낮은 ‘약력검토’와 ‘다학제팀의료’의 상세요소에 각각 포함된 ‘약사검토 의견(각각 0.347, 0.450)’ 요소는 모두 2사분면에 위치하였던 바, 업무 개선을 위해 집중 노력을 고려해야 할 필요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Table 6). 약물 조정 내용에 관련한 13개의 하위 요소를 함께 우선순위 분석한 결과 업무 요소별 가중치의 우위가 나타나지 않아 추가 하위 분석을 시행하였다. 중요도와 수행도가 모두 높은 1사분면에 위치한 3개 요소는 ‘이상반응(0.340)’, ‘효능군 중복(0.334)’, ‘환자 상태에 맞는 약품 선택(0.326)’ 순의 우선 순위를보였다. 2사분면 요소는 ‘복용이력과의 불일치 여부(0.371)’, ‘노인주의 의약품(0.328)’, ‘상호작용(0.301)’ 순이었다. 3사분면은 ‘약물 치료와 관련한환자의 증상·징후’ 요소가 특히 높은 가중치를 보였다(0.410). 4사분면의 경우 ‘처방누락(0.295)’과 ‘용량(0.280)’이 높은 순위를 차지하였다(Table 7).
4. 주요 수행항목 도출
IPA 분석과 AHP 분석을 통하여 입원환자의 약품 검토 및 조정 업무의 주요 수행 항목을 도출하였다. 설문조사 결과 응답 중요도 평균이 4점 이상인 경우 ‘높은 중요도1’, 수정된 IPA 분석 결과 상대적 중요도가 높은 1,2사분면에 위치하는 경우 ‘높은 중요도2’, 그 외 사분면 중 현재 수행도가 높은 4사분면에 해당하는 항목을 ‘높은 현재 수행도’로 하여 각 항목에 해당하는 업무 상세요소를 각각 체크하고 항목당 체크 요소가 2개 이상인 경우 주요 수행항목으로 간주하였다. 22개의 업무 형태 요소 중 12개의 요소를 주요 수행항목으로 도출하였으며, 업무 범위와 업무 실시 시점의 요소들이 대부분 주요 수행항목으로 선택되었다(Table 8).
업무 범위 51개 요소 중 주요 항목을 도출하는 과정은 업무 형태 요소의 도출 방법에 더하여 AHP 분석 결과를 추가 반영하였다. 4개의 선택 기준 중 2개 이상 선택된 경우를 주요 수행항목으로 정의하였고, 총 33개의 항목이 도출되었다. ‘환자 상담’ 업무는 7개 요소 중 한가지를 제외하고 모두 주요 수행항목에 포함되었고, ‘약물 조정’ 업무 중 ‘약물 조정 내용’ 역시 ‘환자 경제적 문제’를 제외한 모든 항목이 포함되었다(Table 9).
고찰
입원환자는 만성질환 여부와 무관하게 현재 통원치료가 불가한 의학적 문제를 가지며, 전문적 치료가 필요한 상황을 맞이한다. 입원 기간 중 치료지침에 따라 단기간 투여하는 약품이 특정일 동안만 투여되기도 하고, 새로 겪은 의학적 문제로 인하여 복용해오던 약품이 변경되는 일이 생기기도 한다. 따라서 입원기간 중 발생되는 다양한 치료과정변화에 따른 약사의 약품처방 검토 및 적절한 중재가 매우 필요하다. 국내의 병원 약제부서에서는 이러한 입원 환자의 특성을 고려하여 이미 다양한 중재활동을 수행하고 있으며, 신기능 저하 환자의 처방 검토, 항생제 투여 환자의 처방 검토, 약물 이상반응 등 특정 영역에 집중한 처방검토 및 중재에 대한 성과 등이 보고되었다.14)-16) 2019년 발표된 국내 병원약사의 중재활동과 성과에 대한 체계적 문헌고찰 연구에 따르면 병원약사의 중재활동은 건강증진과 의료비 절감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는 것으로 경제성 평가 실시 결과 확인되었다.17) 그러나 입원한 모든 환자의 처방 적절성을 환자 상태와 치료 경과를 고려하여 확인하기에 현실적으로 어려운 측면이 있다.
본 연구의 FGI 과정에서 수집된 답변에 의하면, 많은 기관의 약제부서는 입원환자의 약품 검토 및 조정 업무를 조제·검수 등 실물약을 불출하는 과정에 겸하고 있었다. 이러한 환경은 환자경과 기록 등을 고려한 처방 적절성 확인을 위한 실시간 의무기록 열람 접근성 부족과 촉박한 시간 등으로 업무 수행의 완성도를 낮추게 된다. 조제업무와 병행하지 않고, 환자 이력을 고려하며 독립적인 처방 검토를 수행하는 업무절차가 마련된 기관도 있었으나 주어진 시간이 부족하였다. IPA 분석 결과에서도 양상은 같았다. 중요도에 비하여 낮은 수행도 평균 결과를 보여, 업무를 폭넓게 수행하기에 현실적인 어려움이 있는 것을 알 수 있었다. 21개 업무 형태의 평균 중요도가 4.08로 응답한 것에 비해 수행도 평균은 2.63이었고, 업무 범위 52개 요소는 중요도 4.21과 수행도 2.81로 업무와 그에 따른 상세요소에 대하여 중요성을 인식하는 것에 비하여 수행 정도가 떨어지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이처럼 높은 중요도 인식 정도에 비하여 수행 정도가 낮은 현황은 FGI 참여 약사들이 언급한 ‘업무 장벽’ 요소들이 원인일 수 있다. 참여 약사 다수가 언급한 대표적인 업무 장벽은 인력운영 관련 문제였다. 2022년 발표한 병원 약사 표준업무 수행 평가를 통한 인력 기준지표 개발 연구에 따르면 입원환자 100명당 인력 FTE (Full-Time Equivalent)는 7.19 FTE이며 입원조제 환자의 처방 검토는 0.36FTE, 약물조정서비스는 0.06FTE로 각각 전체 업무의 5.0%와 0.8%의 인력 기준이 배분되어 있었다.18) 이와 같은 현황은 인력 공백 시 수행가능한 약사 인력의 안정적인 운영에 어려움이 있을 가능성에 대하여 시사한다. 또한, 앞에서 기술하였듯이 처방 검토 업무 형태가 실물약 불출과정에 겸하여 이루어지는 상황은 업무 수행 여부를 더욱 낮추는 요인으로 작용할 수 있다. 그 외에 수집한 수행도를 낮출 수 있는 업무 장벽 요소로서 업무 담당자의 개인별 역량 차이, 약제부서 내부의 인식 차이와 전산시스템의 미비가 있었다.
관련 인프라 조성이 이와 같은 업무 장벽을 낮추는 데에 도움이 될 수 있는데, CDSS를 활용한 처방 검토 효율성 향상, 업무 표준화를 통한 담당자의 역량 차이에 따른 결과 개선 등이 방법이 될 수 있다. 2019년 발표한 ’중환자실 임상약사의 약물처방 검토 시 필요한 필수점검 항목 개발’ 연구에 따르면, 중환자 약료 업무의 처방 검토 필수항목 개발 후 중환자 전문 약사와 신규약사 간의 처방 검토 일치도를 확인한 결과 99.3%의 일치도를 보였음을 확인하였다.19) 이렇듯 업무의 표준화는 업무 질 유지에 긍정적인 결과를 미칠 수 있으므로 본 연구결과를 활용한 입원환자 처방검토 및 약물조정의 기관별 업무 표준화 작업을 이행하면 수행도를 개선할 수 있을 것으로 생각한다. 또한, 국내 병원 약제부서에 빠르게 도입되고 있는 다양한 조제 자동화 기기들은 조제 및 약품관리에 소요하는 시간을 단축시키고 있어 업무 효율을 크게 향상시키고 있다.20)-22) 자동화로 인하여 재구성할 수 있게된 근무 인력의 시간 분배를 환자 중심의 약료서비스로 환원하는 전략 또한 본 연구의 수행도를 개선할 수있는 방안이 될 것이다. 업무 환경은 법적 근거나 인증 기준이 근거 되었을 때 더욱 개선될 수 있다. 현재약사법 상에 언급된 처방확인, 복약지도 등의 약사 업무는 협의의 개념이고, 국내 의료기관 평가인증에 언급된 의약품관리 항목 중 조제 전 처방감사와 관련한내용 역시 약품간 상호작용 등에 대한 매우 협소한 의미를 갖고 있으며, 환자중심의 포괄적 약품사용검토및 평가 및 효과 등에 대한 기준이 없어 변화하고 있는 약사 업무를 반영한 법적 근거나 인증 기준의 추후마련이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본 연구에서 시행한 두 개의 설문조사는 중요도와 우선순위 등 설문 답변자의 주관적 의견이 반영될 수 있는 구성이므로, 기관과 응답자 개인의 관련 업무에 대한 인식과 경험에 대한 정보를 고려해야 한다. 이를 위하여 설문 시 의료기관의 규모와 지역, 기관 및 개인의 업무 수행 경험과 근속년수를 수집하였다. 이 중 관련 업무 경험을 확인하기 위한 ‘귀하는 다제약물관리사업이나 입원환자의 약물 조정업무의 실무를 담당한 경험이 있습니까?’ 문항의 응답 결과 ‘아니오’로 답한 응답자의 비율이 IPA와 AHP 분석 각각 56.4 %, 58.7%로 다소 많이 차지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그러나 해당 응답자 중 기관의 다제약물관리사업 수행경험이 있는 경우나, 근속년수 10년 이상의 비교적 긴 업무경력을 가진 인원을 제외하였을 때의 나머지 인원이 각각 5인이었으며, 주관적 평가의 성향을 가진 중요도 설문 결과를 문항 결과에 따른 두 그룹으로 나누어 평균 비교하였을 때 73개 문항 중 15개 요소에서 평균의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으나, 이 중 한 가지 요소를 제외하고 두 그룹의 평균이 각각 모두 4점 이상으로 평가되었으므로 해당 응답자의 답변이 본 연구 결과의 흐름과 다르지 않을 것이라고 판단하였다.
이번 연구에서 적용한 IPA 분석결과를 업무 적용에 대한 전략 구성에 활용할 때, 사분면의 의미 해석에는 주의가 필요하다. 설문조사를 통하여 많은 기관이 답변한 각 업무들의 중요도는 대부분 4점 이상이었기 때문에 실질적으로 도출된 상세요소들 중 등한시해야 할 항목은 없다. 또한 기관별 업무 수행 환경이나 절차가 갖춰진 수행 요소의 현황도 다를 수 있으므로, 본 연구 결과의 요소를 일괄적으로 적용할 필요는 없다. 다만 상세한 업무 요소의 지침이 없는 상황에서 다양한 업무 요소를 기관 상황에 맞추어 순차적이고 안정적으로 적용할 수 있는 지침으로 활용할 수 있을 것이다. IPA 사분면의 1, 2사분면의 경우 중요도가 높은 요소들인데, 그 중 1사분면 요소는 수행도와 중요도가 모두 높아 현행 유지하며 수행 수위가 낮아지지 않도록 유의해야 할 요소들이다. 2사분면 요소는 수행도가 아직 낮지만 중요도가 높은 것으로 인식되는, 비교적 최근 중요성이 대두된 요소들이 다수 차지하였는데 대상 환자 기준으로 다약제 환자를 고려하는 것과 약력 검토 사용 자료원으로서 환자 인터뷰를 진행하는 것, 환자 상담 요소로 동기 부여를 포함하는 것, 약물 조정 내용에 노인주의의약품과 복용이력과의 불일치 여부를 확인하는 것 등이 포함되었다. 특히나 환자 상담은 과거부터 수행해온 약사 직무이지만,지도의 개념에서 상담의 개념으로 패러다임이 변화하고 있는 대표적인 영역이다. Chevalier 등이 연구한호주의 3차 병원에 근무하는 병원 약사들을 대상으로수행한 FGI 결과 환자 상담의 목표는 환자와 라포를형성하는 것, 환자에게 자율성과 주체성을 심어주는것과 환자의 건강과 안전을 증진시키는 것으로, 이를위한 약사의 역할은 평가자, 교육자, 문제 해결자 등으로 기술하고 있다.23) 본 연구에서도 환자 상담의 수행 요소 중 동기 부여 요소가 2사분면에 위치하여 지식을 전달하는 목적의 교육에서 자기 효능감을 높이는 환자 중심의 상담으로 인식이 변화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3, 4사분면에 위치한 요소들은 상대적인 중요도가 낮지만, 중요하지 않거나 수행의 필요성이 없는 요소들이 결코 아니다. 게다가 본 연구에 포함된 업무 상세요소들은 국내·외 문헌 자료를 수집 후 작성한, 이미 입원환자의 약품 검토 업무로 포함할 객관적 근거가 있는 항목들이었다. 따라서 본 연구 결과로 분류된3, 4사분면의 요소를 업무 절차로 배제하기 보다는,절차를 수립해야 하는 요소로서 고려해야할 후순위업무로 분류하는 것이 본 연구 결과의 적절한 활용방안일 것이다. 특히나 4사분면은 수행 정도는 높으나산출된 상대적 중요도가 낮은 요소들인데, 업무 수행환경이 비교적 갖춰진 업무들이 많았고, 우선 순위 분석을 수행한 업무 범위의 하위 요소는 1,2번째의 높은 우선순위를 갖는 항목도 다수 있었다. 평균 수행도가 전체 평균 수행 정도보다 높다는 것은 현재 다수의기관에서 수행하고 있다는 점을 의미하며, 이를 감안하였을 때 업무 요소로서 간과하지 않아야 할 주요 요소로 생각할 수 있다. 3사분면은 장기적인 계획을 가지고 점진적으로 개선이 필요한 요소들이다. 두드러지는 점은 타 의료기관과의 정보연계에 관련한 요소가 많이 포함되어 있다는 것인데, 약력 검토 리포트제공을 퇴원·전원 시 제공하는 것, 치료이행시점에타기관 의료진에게 약력 검토 결과기록을 제공하는것, 약력 검토 시 타기관 제공 정보를 활용하거나 공공데이터를 활용하는 것 모두 관련된 요소이다. 즉,기관의 유기적 연결로 환자가 기관을 옮겨가며 진료를 받을 때에도 오로지 환자의 진술에 의존하지 않고,전문가에 의해 작성된 신뢰도 있는 기록지를 공유할수 있는 제도적 장치가 필요하다.24)
업무 범위의 우선순위 분석 결과는 업무 상세요소의 주요 수행항목을 결정하는 데에 추가적인 근거로 활용되었다. 약력 검토, 환자 상담, 다학제팀의료, 약물 조정의 네 가지 업무 중 약력 검토와 약물 조정이 입원환자의 약품 검토 및 조정 업무의 큰 축으로 작용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약력 검토 업무는 약력 확인을 위해 사용하는 자료원과 검토결과를 제공하는 시점이 주요 업무 요소로 인식되었는데, 여러 치료이행 시점 중 입·퇴원 시점에 결과를 제공하는 것이 주요 수행 요소로 선택되었다. 약력 검토 과정은 앞서 문헌고찰 결과에서 확인했듯이 입원환자 약품 검토 업무의 첫 단추이다. 입원 직전에 복용해온 약력을 최대한 정확하게 확인하여 목록을 작성해야 현재 상태에 맞게 치료계획을 수립할 수 있다.
본 연구는 입원환자 약품 검토 및 조정 업무의 상세 수행 요소에 대하여 의료 기관의 약제부서별 수행 현황과 중요도를 정성적·정량적 분석 과정으로 도출했다는 것에서 의의를 가진다. 정성적 분석 과정으로 도출한 상세요소들에 대하여 응답이 복잡하지 않은 리커트 척도의 설문 기법으로 중요도와 수행도를 정량적으로 수집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주요 업무 요소를 결정하고, 업무 요소별 향후 전략을 그룹별로 나누어 제시하였다. 본 연구로 도출된 결과는 기관 상황에 따라 다양한 업무 요소를 한꺼번에 실무 적용하기 어려운 경우 순차적으로 업무를 진행해 나아갈 때 근거자료로 활용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나 설문 응답 기관수가 적고, 상급종합병원과 종합병원이 주를 이루는응답을 토대로 작성한 결과자료라는 점은 본 연구의한계점으로 작용한다. 그렇지만 본 연구의 업무 요소에 대하여 중요도와 수행 정도를 판단할 수 있는 시야를 가지고 있는 기관의 의견을 분석한 결과인 것으로 미루어 추후 규모가 더 작은 기관이나, 업무를 수행하지 못하는 기관에서도 본 연구결과를 토대로 순차적으로 적용해 볼 수 있으리라 생각한다.
결론 및 제언
한국병원약사회에 소속된 의료기관을 대상으로 실시한 설문조사 결과를 바탕으로 입원환자의 약품검토 및 조정업무에 대하여 중요도와 수행도 인식, 우선순위를 분석하였다. 이를 통해 업무 요소 및 상세요소를 도출하였다. 업무 요소는 업무분장, 수행약사의 자격 요건, 대상 환자 기준, 업무 범위, 업무실시 시점, 업무 지표로 분류하였고, 이 중 업무 범위는 약력검토, 환자 상담, 다학제팀의료, 약물 조정으로 세분화하였다. 업무 범위는 약력 검토와 이를 통한 약물 조정 업무로 대표할 수 있으며, 그 외에도 주요 수행 항목의 요소들을 도출함으로써 기관별 업무 프로세스를 정립할 수 있는 근거를 마련하였다.
별도의 법적 근거나 인증 기준, 수가 적용이 없는 현재의 환경에서 약품 검토 및 중재 업무만을 단독으로 수행하는 인력을 지정하기에는 운영의 어려움이 있다. 그러나 업무의 중요성에 대한 공감대는 형성되어 있는 바, 조제업무와 겸하여 수행하거나, 근무 시간의 일부만 할애하여 수행하는 방식으로 유지해온 것이 현재 여러 약제부서의 현실이다. 의료 패러다임이변하는 시기에 맞추어 수가 신설이나 공인된 기준이고려되어야 한다. 이러한 측면에서 여러 의료기관에서 입원환자의 약품 검토 및 중재에 관련한 다양한 세부 업무 요소를 정립해 나가는 노력은 환자 안전과 치료결과 향상의 성과로 이어질 수 있을 것이다. 또한,다제약물관리사업의 수행 유지와 사업의 점진적 발전도 긍정적인 점으로 작용하고 있어 해당 사업에 대하여 약사 주도의 업무절차를 공고히 하여 입원환자에대한 약사 전문성 제고에 이바지할 필요가 있다.
감사의 글
본 연구는 (재)병원약학교육연구원의 2023년도 제25회 병원약학 연구논문(지정주제) 지원으로 수행되었습니다.
Fig 1.
(1,2: Criteria for task assignment division, 3,4: Requirement for performing pharmacist, 5~9: Patient Selection, 10~13 Task scope, 14~18: Timing of work implementation, 19~22: Key performance indicators)
Fig 2.
(Medication history review/ 1~6: Used Resource, 7~11: Medication category, 12~15: Point in time of report providing, 16~18: Report content, 19~21: Individual report provided, Patient counsel/ 22~24: Patient selection, 25~28: Consultation content, Multidisciplinary team involvement/29~31, Medication reconciliation/ 32~44: Content, 45~47: Method of recording and sharing the result, 48~51: Communication method with medical staff)
-
Characteristic of survey respondents Characteristics Number of respondents (n, %) IPA* (n=39) AHP† (n=46) Hospital Hospital classification Tertiary general hospital 21 (53.8) 26 (56.5) Secondary general hospital 17 (43.6) 19 (41.3) Primary hospital 1 (2.6) 1 (2.2) Number of beds ≥1,000 10 (25.6) 16 (34.8) 500-999 19 (48.7) 22 (47.8) 300-499 6 (15.4) 5 (10.9) 100-299 3 (7.7) 2 (4.3) <100 1 (2.6) 1 (2.2) Location Incheon/Gyeong-gi 13 (33.3) 16 (34.8) Seoul 10 (25.6) 14 (30.4) Busan/Ulsan/Gyeongnam 7 (17.9) 6 (13.0) Daejeon/Chungcheong 4 (10.3) 3 (6.5) Daegu/Gyeongbuk 3 (7.7) 4 (8.7) Gwangju/Jeonnam 2 (5.1) 2 (4.3) Jeonbuk 1 (2.2) Participation of polypharmacy management program Yes 22 (56.4) 29 (63.0) No 17 (43.6) 17 (37.0) Respondents Practice experience Yes 17 (43.6) 19 (41.3) No 22 (56.4) 27 (58.7) Years of working experience 1-10 years 10 (25.6) 12 (26.1) 11-20 years 15 (38.5) 20 (43.5) 21-30 years 14 (35.9) 13 (28.3) ≥31 years 1 (2.2) *IPA, Importance-performance analysis; †AHP, Analytic hierarchy process.
-
Comparison of the importance-performance of task constituent Division Importance Performance T P-value Mean SD† Mean SD Division 1 Criteria for task assignment division Division 2 1 Responsible by ward/medical department 4.23 0.78 2.13 1.24 -8.978 * 2 Responsible by specialized tasks 4.33 0.84 3.51 1.37 -3.184 0.002 Division 1 Requirement for performing pharmacist Division 2 3 Official qualification standard 3.85 0.96 2.95 1.36 -3.372 * 4 Institution-specific qualification standard 4.28 0.79 3.41 1.25 -3.676 * Division 1 Patient selection Division 2 5 All patient 3.85 1.35 3.41 1.46 -1.368 0.175 6 Geriatrics 3.95 0.94 2.21 1.15 -7.313 * 7 Patient on multiple medications 4.08 0.87 2.28 1.21 -7.509 * 8 In-hospital patient with selected ward/medical department 3.90 1.02 2.36 1.29 -5.848 * 9 Patients taking a specific medication 4.56 0.60 3.51 1.07 -5.345 * Division 1 Task scope Division 2 10 Medication history review 4.46 0.76 2.92 1.29 -6.444 * 11 Medication reconciliation 4.56 0.55 3.38 1.31 -5.181 * 12 Patient counseling 3.97 0.87 1.90 1.02 -9.656 * 13 Multidisciplinary medical team involvement 4.08 0.93 1.95 1.10 -9.237 * Division 1 Timing of work implementation Division 2 14 No separate point 4.21 1.00 3.26 1.48 -3.309 * 15 Admission 4.18 0.85 2.87 1.24 -5.425 * 16 Transferring wards/medical department 3.36 1.11 2.03 1.14 -5.240 * 17 Discharge 4.23 0.99 2.87 1.28 -5.250 * 18 Request by medical staff 4.08 0.93 3.00 1.26 -4.304 * Division 1 Key performance indicators Division 2 19 Number of tasks performed 4.26 0.85 2.97 1.42 -4.830 * 20 Total time consumed for task finish 3.82 1.10 2.00 0.89 -8.053 * 21 Clinical outcome 3.62 1.07 1.46 0.91 -9.579 * 22 Satisfaction 3.82 0.97 1.56 0.94 -10.432 * * p<0.001.
† SD, standard deviation.
-
Comparison of the importance-performance of task scope Division Importance Performance T P-value Mean SD† Mean SD Division 1 Medication history review Division 2 Used Resource Division 3 1 Real medication 4.44 0.75 4.62 0.59 1.171 0.245 2 Prescription 4.46 0.72 3.92 1.33 -2.229 0.030 3 Institution database 4.44 0.88 4.15 1.23 -1.166 0.247 4 Public database 4.31 0.89 2.08 1.35 -8.628 ** 5 Information from other institution (hospital, pharmacy, etc.) 4.10 0.88 2.44 1.31 -6.577 ** 6 Patient interview 4.03 1.11 2.33 1.38 -5.956 ** Division 2 Medication category Division 3 7 Prescribed medication 4.67 0.53 4.36 0.96 -1.753 0.085 8 Over the counter medication 4.08 0.81 2.15 1.23 -8.183 ** 9 Health supplement 3.67 1.03 1.90 1.19 -7.015 ** 10 Herbal supplement 3.56 1.12 1.90 1.17 -6.443 ** 11 PRN medication 4.21 1.03 2.92 1.49 -4.412 ** Division 2 Point in time of report providing Division 3 12 Admission 4.49 0.72 2.92 1.53 -5.780 ** 13 At transfer of ward/medical department 3.74 1.12 1.92 1.33 -6.558 ** 14 Discharge 4.05 1.02 2.15 1.35 -6.997 ** 15 Transfer to different institution 3.97 1.14 1.97 1.31 -7.213 ** Division 2 Report content Division 3 16 Medication name, dose, direction, route of administration 4.62 0.59 3.49 1.54 -4.280 ** 17 Changed medication history 4.21 0.83 2.44 1.33 -7.027 ** 18 Pharmacist opinion after review 4.21 0.80 2.64 1.48 -5.812 ** Division 2 Individual report provided Division 3 19 Medical staff 4.69 0.52 3.33 1.53 -5.259 ** 20 Patient/patient’s caregiver 4.10 1.05 1.97 1.09 -8.806 ** 21 Medical staff in different institution (in transition) 3.85 1.20 1.67 0.96 -8.857 ** Division 1 Patient counsel Division 2 Patient selection Division 3 22 Consultation by medical department 4.21 0.92 3.03 1.46 -4.265 ** 23 Medication 4.54 0.68 4.00 1.19 -2.448 ** 24 Patient condition 4.13 0.92 1.74 0.99 -10.988 ** Division 2 Consultation content Division 3 25 Medication change history 4.38 0.85 2.87 1.47 -5.563 ** 26 How to take, adverse reaction 4.41 0.68 3.26 1.43 -4.560 ** 27 Medication storage 4.23 0.90 2.97 1.37 -4.792 ** 28 Emotional support 4.23 0.93 2.33 1.42 -6.978 ** Division 1 Multidisciplinary team involvement Division 3 29 Round participation 4.10 0.97 2.10 1.33 -7.580 ** 30 Seminar 3.92 0.93 1.85 1.18 -8.629 ** 31 Pharmacist opinion provided when medication adjustment 4.21 1.00 2.54 1.45 -5.905 ** Division 1 Medication reconciliation Division 2 Content Division 3 32 Medication selection to patient’s condition 4.36 0.84 3.03 1.27 -5.473 ** 33 Omission 4.38 0.85 2.97 1.55 -4.993 ** 34 Dose 4.69 0.57 4.05 1.17 -3.080 * 35 Route of administration, formulation, administration method 4.56 0.68 4.03 1.01 -2.756 * 36 Duplicate therapy 4.64 0.63 4.10 1.10 -2.664 0.01 37 Medication adherence 4.33 0.77 2.54 1.31 -7.351 ** 38 Drug interaction 4.36 0.78 2.56 1.43 -6.890 ** 39 Clinical lab 4.36 0.78 3.08 1.48 -4.800 ** 40 Adverse reaction 4.49 0.72 3.10 1.55 -5.052 ** 41 Signs and symptoms regarding medical treatment 4.33 0.74 2.54 1.48 -6.764 ** 42 Potentially inappropriate medications in older adults 4.41 0.72 2.51 1.39 -7.567 ** 43 Commission, medication discrepancy 4.21 1.00 2.72 1.56 -5.016 ** 44 Patient financial problem 3.72 0.97 1.54 0.85 -10.522 ** Division 2 Method of recording and sharing the result Division 3 45 EMR‡ 4.18 0.94 2.46 1.59 -5.813 ** 46 Institution database 4.28 0.94 2.79 1.58 -5.055 ** 47 Temporary record (verbal, text message, etc.) 3.85 1.16 3.28 1.36 -1.974 0.052 Division 2 Communication method with medical staff Division 3 48 Telephone 3.87 0.95 3.79 1.17 -0.318 0.751 49 Internal messenger 4.03 1.20 3.18 1.59 -2.653 0.01 50 Outside messenger 3.21 1.24 2.31 1.45 -2.934 * 51 Computerized sharing system within the institution (EMR, OCS§, etc.) 3.97 1.09 2.79 1.47 -4.024 ** *<0.01, **<0.001.
† SD, standard deviation; ‡EMR, electronic medication record; §OCS, order communication system.
-
Importance-performance analysis for task constituent Division Traditional IPA* Revised-IPA Grid change status Importance (y-axis) Performance (x-axis) Grid ln PCC† (y-axis) Performance (x-axis) Grid Division 1 Criteria for task assignment division Division2 1 Responsible by ward/medical department 4.23 2.13 2 0.76 0.01 2.13 3 O 2 Responsible by specialized tasks 4.33 3.51 1 1.26 0.29 3.51 1 Division 1 Requirement for performing pharmacist Division2 3 Official qualification standard 3.85 2.95 4 1.08 0.30 2.95 1 O 4 Institution-specific qualification standard 4.28 3.41 1 1.23 0.28 3.41 1 Division 1 Patient selection Division2 5 All patient 3.85 3.41 4 1.23 0.53 3.41 1 O 6 Geriatrics 3.95 2.21 3 0.79 -0.12 2.21 3 7 Patient on multiple medication 4.08 2.28 2 0.83 0.33 2.28 2 8 In-hospital patient with selected ward/medical department 3.90 2.36 3 0.86 0.12 2.36 3 9 Patients taking a specific medication 4.56 3.51 1 1.26 0.09 3.51 4 O Division 1 Task scope Division2 10 Medication history review 4.46 2.92 1 1.07 0.13 2.92 4 O 11 Medication reconciliation 4.56 3.38 1 1.22 0.21 3.38 1 12 Patient counseling 3.97 1.90 3 0.64 0.28 1.90 2 O 13 Multidisciplinary medical team involvement 4.08 1.95 2 0.67 0.36 1.95 2 Division 1 Key performance indicators Division2 14 No separate point 4.21 3.26 1 1.18 0.37 3.26 1 15 Admission 4.18 2.87 1 1.05 0.17 2.87 4 O 16 Transferring wards/medical department 3.36 2.03 3 0.71 0.25 2.03 2 O 17 Discharge 4.23 2.87 1 1.05 0.20 2.87 4 O 18 Request by medical staff 4.08 3.00 1 1.10 0.23 3.00 1 Division 1 Task index Division 2 19 Number of tasks performed 4.26 2.97 1 1.09 0.37 2.97 1 20 Total time consumed for task finish 3.82 2.00 3 0.69 -0.09 2.00 3 21 Clinical outcome 3.62 1.46 3 0.38 0.33 1.46 2 O 22 Satisfaction 3.82 1.56 3 0.45 -0.18 1.56 3 *IPA, Importance-performance analysis; † PCC, partial correlation coefficient.
-
Importance-performance analysis for task scope Division Traditional IPA* Revised-IPA Grid change status Importance (y-axis) Performance (x-axis) Grid ln PCC† (y-axis) Performance (x-axis) Grid Division 1 Medication history review Division 2 Used Resource Division 3 1 Real medication 4.44 4.62 1 1.53 0.26 4.62 1 2 Prescription 4.46 3.92 1 1.37 -0.12 3.92 4 O 3 Institution database 4.44 4.15 1 1.42 0.45 4.15 1 4 Public database 4.31 2.08 2 0.73 -0.10 2.08 3 O 5 Information from other institution (hospital, pharmacy, etc.) 4.10 2.44 3 0.89 0.01 2.44 3 6 Patient interview 4.03 2.33 3 0.85 0.36 2.33 2 O Division 2 Medication category Division 3 7 Prescribed medication 4.67 4.36 1 1.47 -0.19 4.36 4 O 8 Over the counter medication 4.08 2.15 3 0.77 -0.45 2.15 3 9 Health supplement 3.67 1.90 3 0.64 -0.11 1.90 3 10 Herbal supplement 3.56 1.90 3 0.64 0.52 1.90 2 O 11 PRN medication 4.21 2.92 1 1.07 0.37 2.92 1 Division 2 Point in time of report providing Division 3 12 Admission 4.49 2.92 1 1.07 0.18 2.92 1 13 At transfer of ward/medical department 3.74 1.92 3 0.65 0.12 1.92 2 O 14 Discharge 4.05 2.15 3 0.77 0.04 2.15 3 15 Transfer to different institution 3.97 1.97 3 0.68 -0.16 1.97 3 Division 2 Report content Division 3 16 Medication name, dose, direction, route of administration 4.62 3.49 1 1.25 0.31 3.49 1 17 Changed medication history 4.21 2.44 2 0.89 -0.37 2.44 3 O 18 Pharmacist opinion after review 4.21 2.64 2 0.97 0.39 2.64 2 Division 2 Individual report provided Division 3 19 Medical staff 4.69 3.33 1 1.20 -0.34 3.33 4 O 20 Patient/patient’s caregiver 4.10 1.97 3 0.68 0.03 1.97 3 21 Medical staff in different institution (in transition) 3.85 1.67 3 0.51 -0.14 1.67 3 Division 1 Patient counsel Division 2 Patient selection Division 3 22 Consultation by medical department 4.21 3.03 1 1.11 0.32 3.03 1 23 Medication 4.54 4.00 1 1.39 -0.07 4.00 4 O 24 Patient condition 4.13 1.74 3 0.56 -0.05 1.74 3 Division 2 Consultation content Division 3 25 Medication change history 4.38 2.87 1 1.05 -0.07 2.87 4 O 26 How to take, adverse reaction 4.41 3.26 1 1.18 0.31 3.26 1 27 Medication storage 4.23 2.97 1 1.09 -0.24 2.97 4 O 28 Emotional support 4.23 2.33 2 0.85 0.12 2.33 2 Division 1 Multidisciplinary team involvement Division 3 29 Round participation 4.10 2.10 3 0.74 -0.18 2.10 3 30 Seminar 3.92 1.85 3 0.61 0.30 1.85 2 O 31 Pharmacist opinion provided when medication adjustment 4.21 2.54 2 0.93 0.17 2.54 2 Division 1 Medication reconciliation Division 2 Content Division 3 32 Medication selection to patient’s condition 4.36 3.03 1 1.11 0.22 3.03 1 33 Omission 4.38 2.97 1 1.09 -0.42 2.97 4 O 34 Dose 4.69 4.05 1 1.40 -0.22 4.05 4 O 35 Route of administration, formulation, administration method 4.56 4.03 1 1.39 0.03 4.03 4 O 36 Duplicate therapy 4.64 4.10 1 1.41 0.28 4.10 1 37 Medication adherence 4.33 2.54 2 0.93 -0.25 2.54 3 O 38 Drug interaction 4.36 2.56 2 0.94 0.15 2.56 2 39 Clinical lab 4.36 3.08 1 1.12 -0.15 3.08 4 O 40 Adverse reaction 4.49 3.10 1 1.13 0.24 3.10 1 41 Signs and symptoms regarding medical treatment 4.33 2.54 2 0.93 -0.30 2.54 3 O 42 Potentially inappropriate medications in older adults 4.41 2.51 2 0.92 0.11 2.51 2 43 Commission, medication discrepancy 4.21 2.72 2 1.00 0.33 2.72 2 44 Patient financial problem 3.72 1.54 3 0.43 0.02 1.54 3 Division 2 Method of recording and sharing the result Division 3 45 EMR‡ 4.18 2.46 3 0.90 0.26 2.46 2 O 46 Institution database 4.28 2.79 2 1.03 -0.03 2.79 3 O 47 Temporary record (verbal, text message, etc.) 3.85 3.28 4 1.19 0.05 3.28 1 O Division 2 Communication method with medical staff Division 3 48 Telephone 3.87 3.79 4 1.33 0.01 3.79 4 49 Internal messenger 4.03 3.18 4 1.16 0.19 3.18 1 O 50 Outside messenger 3.21 2.31 3 0.84 0.16 2.31 2 O 51 Computerized sharing system within the institution (EMR, OCS§, etc.) 3.97 2.79 3 1.03 -0.07 2.79 3 *IPA, Importance-performance analysis; †PCC, partial correlation coefficient; ‡EMR, electronic medication record; §OCS, order communication system.
-
Analytic hierarchy process for task scope AHP weight (Division 1, 2) Division AHP* weight Priority ranking IPA† Grid 0.325 Division 1 Medication history review 0.248 Division 2 Used Resource Division 3 Real medication 0.173 3 1 Prescription 0.201 2 4 Institution database 0.209 1 1 Public database 0.142 4 3 Information from other institution (hospital, pharmacy, etc.) 0.141 5 3 Patient interview 0.135 6 2 0.140 Division 2 Medication category Division 3 Prescribed medication 0.443 1 4 Over the counter medication 0.167 3 3 Health supplement 0.099 5 3 Herbal supplement 0.108 4 2 PRN medication 0.183 2 1 0.153 Division 2 Point in time of report providing Division 3 Admission 0.355 1 1 At transfer of ward/medical department 0.162 4 2 Discharge 0.257 2 3 Transfer to different institution 0.226 3 3 0.271 Division 2 Report content Division 3 Medication name, dose, direction, route of administration 0.362 1 1 Changed medication history 0.291 3 3 Pharmacist opinion after review 0.347 2 2 0.188 Division 2 Individual report provided Division 3 Medical staff 0.489 1 4 Patient/patient’s caregiver 0.236 3 3 Medical staff in different institution (in transition) 0.275 2 3 0.180 Division 1 Patient counsel 0.480 Division 2 Patient selection Division 3 Consultation by medical department 0.338 2 1 Medication 0.394 1 4 Patient condition 0.268 3 3 0.520 Division 2 Consultation content Division 3 Medication change history 0.482 2 4 How to take, adverse reaction 0.518 1 1 Medication storage - 4 Emotional support - 2 0.184 Division 1 Multidisciplinary team involvement Division 3 Round participation 0.337 2 3 Seminar 0.213 3 2 pharmacist opinion provided when medication adjustment 0.450 1 2 0.311 Division 1 Medication reconciliation 0.461 Division 2 Content Division 3 Medication selection to patient’s condition 0.076 8 1 Omission 0.084 6 4 Dose 0.089 2 4 Route of administration, formulation, administration method 0.071 10 4 Duplicate therapy 0.086 3 1 Medication adherence 0.071 9 3 Drug interaction 0.076 7 2 Clinical lab 0.069 12 4 Adverse reaction 0.092 1 1 Signs and symptoms regarding medical treatment 0.084 4 3 Potentially inappropriate medications in older adults 0.069 11 2 Commission, medication discrepancy 0.084 5 2 Patient financial problem 0.050 13 3 0.236 Division 2 Method of recording and sharing the result Division 3 EMR‡ 0.383 2 2 Institution database 0.426 1 3 Temporary record (verbal, text message, etc.) 0.190 3 1 0.333 Division 2 Communication method with medical staff Division 3 Telephone 0.222 3 4 Internal messenger 0.322 1 1 Outside messenger 0.181 4 2 Computerized sharing system within the institution (EMR, OCS§, etc.) 0.274 2 3 *AHP, Analytic hierarchy process; †IPA, Importance-performance analysis; ‡EMR, electronic medication record; §OCS, order communication system.
-
AHP* results of detailed elements grouped into quadrants based on IPA† analysis of medication reconciliation content Grid Division AHP weight Priority ranking 1 Keep up the good work Medication selection to patient’s condition 0.326 3 Duplicate therapy 0.334 2 Adverse reaction 0.340 1 2 Concentrate here Drug interaction 0.301 3 Potentially inappropriate medications in older adults 0.328 2 Commission, medication discrepancy 0.371 1 3 Low priority Medication adherence 0.347 2 Signs and symptoms regarding medical treatment 0.410 1 Patient financial problem 0.243 3 4 Possible overkill Omission 0.295 1 Dose 0.280 2 Route of administration, formulation, administration method 0.211 4 Clinical lab 0.214 3 *AHP, Analytic hierarchy process; †IPA, Importance-performance analysis.
-
Key task constituents in the work of inpatient medication history review and intervention by pharmacists Division Selection criteria Importance 1† Importance 2‡ Current performance * Division 1 Criteria for task assignment division Division 2 1 Responsible by ward/medical department ∨ 2 Responsible by specialized tasks ∨ ∨ ○ Division 1 Requirement for performing pharmacist Division 2 3 Official qualification standard ∨ 4 Institution-specific qualification standard ∨ ∨ ○ Division 1 Patient selection Division 2 5 All patient ∨ 6 Geriatrics 7 Patient on multiple medication ∨ ∨ ○ 8 In-hospital patient with selected ward/medical department 9 Patients taking a specific medication ∨ ∨ ○ Division 1 Task scope Division 2 10 Medication history review ∨ ∨ ○ 11 Medication reconciliation ∨ ∨ ○ 12 Patient counseling ∨ 13 Multidisciplinary medical team involvement ∨ ∨ ○ Division 1 Timing of work implementation Division 2 14 No separate point ∨ ∨ ○ 15 Admission ∨ ∨ ○ 16 Transferring wards/medical department ∨ 17 Discharge ∨ ∨ ○ 18 Request by medical staff ∨ ∨ ○ Division 1 Key performance indicators Division 2 19 Number of tasks performed ∨ ∨ ○ 20 Total time consumed for task finish 21 Clinical outcome ∨ 22 Satisfaction *≥2 selected items.
† ≥4 response score in IPA survey, ‡1, 2 quadrant in IPA, §4 quadrant in IPA.
-
Key task scope in the work of inpatient medication history review and intervention by pharmacists Division Selection criteria Importance 1† Importance 2‡ Current performance§ Priority∥ * Division 1 Medication history review Division 2 Used Resource Division 3 1 Real medication ∨ ∨ ∨ ◎ 2 Prescription ∨ ∨ ∨ ◎ 3 Institution database ∨ ∨ ∨ ◎ 4 Public database ∨ 5 Information from other institution (hospital, pharmacy, etc.) ∨ 6 Patient interview ∨ ∨ ○ Division 2 Medication category Division 3 7 Prescribed medication ∨ ∨ ∨ ◎ 8 Over the counter medication ∨ 9 Health supplement 10 Herbal supplement ∨ 11 PRN medication ∨ ∨ ∨ ◎ Division 2 Point in time of report providing Division 3 12 Admission ∨ ∨ ∨ ◎ 13 At transfer of ward/medical department ∨ 14 Discharge ∨ ∨ ○ 15 Transfer to different institution Division 2 Report content Division 3 16 Medication name, dose, direction, route of administration ∨ ∨ ∨ ◎ 17 Changed medication history ∨ 18 Pharmacist opinion after review ∨ ∨ ∨ ◎ Division 2 Individual report provided Division 3 19 Medical staff ∨ ∨ ∨ ◎ 20 Patient/patient’s guardian ∨ 21 Medical staff in different institution (in transition) Division 1 Patient counsel Division 2 Patient selection Division 3 22 Consultation by medical department ∨ ∨ ∨ ◎ 23 Medication ∨ ∨ ∨ ◎ 24 Patient condition ∨ Division 2 Consultation content Division 3 25 Medication change history ∨ ∨ ○ 26 How to take, adverse reaction ∨ ∨ ∨ ◎ 27 Medication storage ∨ ∨ ○ 28 Emotional support ∨ ∨ ○ Division 1 Multidisciplinary team involvement Division 3 29 Round participation ∨ 30 Seminar ∨ 31 Pharmacist opinion provided when medication adjustment ∨ ∨ ∨ ◎ Division 1 Medication reconciliation Division 2 Content Division 3 32 Medication selection to patient’s condition ∨ ∨ ○ 33 Omission ∨ ∨ ∨ ◎ 34 Dose ∨ ∨ ∨ ◎ 35 Route of administration, formulation, administration method ∨ ∨ ○ 36 Duplicate therapy ∨ ∨ ∨ ◎ 37 Medication adherence ∨ ∨ ○ 38 Drug interaction ∨ ∨ ○ 39 Clinical lab ∨ ∨ ○ 40 Adverse reaction ∨ ∨ ∨ ◎ 41 Signs and symptoms regarding medical treatment ∨ ∨ ○ 42 Potentially inappropriate medications in older adults ∨ ∨ ∨ ◎ 43 Commission, medication discrepancy ∨ ∨ ∨ ◎ 44 Patient financial problem Division 2 Method of recording and sharing the result Division 3 45 EMR ∨ ∨ ○ 46 Institution database ∨ ∨ ○ 47 Temporary record (verbal, text message, etc.) ∨ Division 2 Communication method with medical staff Division 3 48 Telephone ∨ 49 Internal messenger ∨ ∨ ∨ ◎ 50 Outside messenger ∨ 51 Computerized sharing system within the institution (EMR, OCS, etc.) ∨ *◎: 3 selected items, ○: 2 selected items.
† ≥4 response score in IPA survey, ‡1, 2 quadrant in IPA, §4 quadrant in IPA, ∥top 50% priority in AHP.
References
- 이용석. 노인다약제 사용환자의 의약품 안전관리: 2021 서울특별시의회 연구용역 최종보고서: 2021.
- 김동숙, 윤상헌, 조호진 et al. 노인의 다약제 사용 관리방안: 2022.
- 김정하, 장선미, 이세영 et al. 다제약물 관리사업 제도화 방안 마련 연구. 국민건강보험공단 연구용역 최종보고서: 2022.
- Kim J, Baek S, Choi N et al. Clinical pharmacist services in general wards and perception and expectation of healthcare providers towards the services at a tertiary healthcare center. Korean J Clin Pharm. 2022;32(1):20-6.
- Ko KM, Hirata Sumiko, Choi S et al. The Evaluation of Clinical Pharmacy Services in an Educational Hospital. J. Kor. Soc. Health-syst. Pharm. 2017;34(4):390-400.
- Gwak MG, Geum MJ, Ko JH et al. Current Status of Polypharmacy Counseling for Elderly Patients in a Tertiary Hospital. J. Kor. Soc. Health-syst. Pharm. 2023;40(1):97-109.
- Jang H, Hwang H, Jang S et al. Effects of Medication Reconciliation System on Patient Safety Management. J. Kor. Soc. Health-syst. Pharm. 2010;27(2):119-31.
- Han J, Jung H, Kim S et al. Necessity of Transition of Care Pharmaceutical Service Based on the Effectiveness of Discharge Medication Reconciliation. J. Kor. Soc. Health-syst. Pharm. 2021;38(3):306-18.
- World Health Organization. The High 5s Project Medication Reconciliation Implementation Guide [internet]. 2014 Oct [cited 2024 Apr 1]. Available from: https://cdn.who.int/media/docs/default-source/integrated-health-services-(ihs)/psf/high5s/h5s-guide.pdf?sfvrsn=3bbdb46a_4..
- Yusoff MSB. ABC of content validation and content validity index calculation. Education in Medicine Journal. 2019;11(2):49-54.
- Martilla JA, James JC. Importance-performance analysis. J. Market. 1977;41(1):77-9.
- Deng W. Using a revised importance- performance analysis approach: The case of Taiwanese hot springs tourism. Tourism Management. 2007;28(5):1274-84.
- Golden BL, Wasil EA, Harker PT. The analytic hierarchy process. Applications and Studies, Berlin, Heidelberg. 1989;2(1):1-273.
- 이유정, 최인화, 김세지 et al. 신기능 저하 환자에 대한 약사의 처방검토 및 처방중재 업무 소개. J. Kor. Soc. Health-syst. Pharm. 37(2):219-27.
- 이미란, 유미선, 박혜순 et al. 항균제 적정 사용을 위한 약사의 처방감사 및 중재활동. J. Kor. Soc. Health-syst. Pharm. 2020;37(2):209-13.
- Park T, Kim Y, Jung Y et al. The Comparison Analysis of the Prevention of Adverse Drug Events through Order Interventions by Designated-pharmacists. J. Kor. Soc. Health-syst. Pharm. 2014;31(1):638-43.
- Lee SY, Cho E. A Systematic Review of Outcomes Research in the Hospital Pharmacists' Interventions in South Korea. Korean J Clin Pharm. 2019;29(3):193-201.
- 김경자. 병원약사 표준업무 수행을 위한 의료기 관 약사 인력 관련 법 개정 방향 연구. J. Kor. Soc. Health-syst. Pharm. 2023;40(1):5-46.
- Sohn YM, Park HJ, Chung JE et al. Development of an Evidence-based Essential Checklist for the Critical Care Pharmacist. J. Kor. Soc. Health-syst. Pharm. 2019;36(1):26-46.
- 김태중, 이현주, 홍수연 et al. 자동화 의약품 공급 캐비닛의 사용 현황 평가 [internet]. 한국병원약사회 2021 온라인 추계학술대회;2021. 11.19-12.13. [cited 2024 Apr 1]. Available from: https://download.kshp.or.kr:444/download.asp?filename=/upload/abstract/A-18-%B1%E8%C5%C2%C1%DF(%BB%EF%BC%BA%BC%AD%BF%EF%BA%B4%BF%F8)(0).pdf.
- 윤혜진, 최수희, 차윤영 et al. 주사약 자동조제시스템(ADS) 도입을 통한 주사약 조제 프로세스 개선 및 환자 안전 도모 [internet]. 한국병원약사회 2021 온라인 추계학술대회;2021. Nov 19- Dec 13. [cited 2024 Apr 1]. Available from:https://download.kshp.or.kr:444/download.asp?filename=/upload/abstract/P-57-%C0%.
- 황혜정, 강지만, 김경선 et al. (2022.11) 주사약 자동분배 시스템(ADS) 도입과 업무 정착 과정 소개 [internet]. 한국병원약사회 2022 추계학술대회;2022 Nov 19. [cited 2024 Apr 1]. Available from: https://www.kshp.or.kr/board/symposium_abstract_viw.asp?nbidx=2340&SearchY-ear=2022&Page=9&Mode=nlist.
- Chevalier BA, Watson BM, Barras MA et al. Hospital pharmacists' perceptions of medication counseling: A focus group study. Research in Social and Administrative Pharmacy. 2016;12(5):756-71.
- 오정미, 한나영. DUR 고도화를 위한 발전방안. 의료정책포럼. 2020;18(1):48-5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