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메뉴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Health-System PharmacistsJKSHP

Article Search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Health-system Pharmacists

업무개선사례 Split Viewer

Related articles in JKSHP

Article

업무개선사례

J. Kor. Soc. Health-syst. Pharm. 2025; 42(1): 77-86

Published online February 28, 2025

Copyright © The Korean Society of Health-system Pharmacists.

주사제 무균조제 안전성 향상을 위한 시설 개선 및 자동화에 따른 변화 분석

황은정, 이상, 송명진, 유용진, 조희련, 정승우

Body

의학의 발전으로 다양한 주사제들이 개발되고 사용량이 증가하면서 주사제 관련 감염, 환자와 직원의 안전과 관련된 문제도 더욱 중요하게 되었다. 특히 2017년에 발생하였던 사건을 계기로 주사제 관련 감염에 대한 사회적 관심이 높아지면서 병원들에서는 손위생, 무균술을 넘어 주사제 조제를 위한 환경, 시설, 장비에 대한 병원 내부의 상황에 더욱 관심을 가지게 되었다.

이러한 사회적 이슈들 속에서 우리나라 규제 당국은 주사제 안전사용을 위한 여러 가이드라인을 만들어 주사제를 안전한 시설과 환경에서 준비, 조제, 투여하도록 권고하고 있다.1),2) 한국병원약사회에서도 병원 내에의 안전한 주사제 무균조제 수행하기 위한 노력의 일환으로 주사제 무균조제에 대한 가이드라인 초판과 개정판을 발간하였다.3),4)

항암제는 미국 Centers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의 The National Institute for Occupational Safety and Health에서 조제자의 건강에 직접적으로 유해할 수 있는 의약품으로 분류되고 있다.5) 또한, 항암제는 무균조제 대상 주사제 중 가장 대표적인 의약품으로 매우 빠른 속도로 개발되어 임상현장에서 사용되고 있으나, 오류가 발생할 경우 환자와 직원에게 높은 위험을 초래할 가능성이 있는 대표적인 고위험 의약품이다.

이러한 주사제 안전사용을 위한 여러 고민을 기반으로 우리병원에서는 주사제 무균조제 시스템을 구축하기 위해 2018년부터 2021년까지 시설 및 환경 공사, 자동화 로봇 도입, 전산 개발 등을 진행하였다. 이에 우리병원 무균조제 시설 및 환경 구축과정과 자동화 장비 도입을 준비하고 진행하는 과정에서의 고민과 고려사항, 그리고 그에 따른 변화를 주사제 무균조제 업무를 담당하고 있는 병원 약제부서와 공유하고자 한다.

자료 수집

미국의 관련 자료로는 US Pharmacopeia (USP) chapter 797과 800, American Society of Health-System Pharmacists (ASHP), Institute for Safe Medication Practices (ISMP)의 무균주사조제와 관련된 가이드라인을 수집하였다.6)-10) 일본병원약사회의 가이드라인도 한국병원약사회 자료실을 통해 확인할 수 있어서 아시아 지역의 정보도 같이 확인할 수 있었다.11) 하지만 가이드라인을 고려한 실제 구축 사례에 대한 자료들을 얻고자 하였으나 한계가 많았으며, 오래전 정보이지만 미국의 한 사례를 소개한 자료도 무균조제실 시설 구축에 참고했다.12)

한국병원약사회에서는 국내병원의 항암 주사제 조제 환경 및 약사 업무 현황을 조사한 바 있다.13) 해당 연구에서는 항암제 관련 근무자 및 근무환경, 장비현황 조사와 조제 공간과 장비에 대한 질 평가 및 관리, 작업자의 안전교육 및 근무 여건 평가에 설문 결과를 분석하였다. 해당 연구는 현황을 분석한 자료이며 무균주사제 조제 가이드라인이 발간되기 이전 연구로 업무개선을 위한 정보를 얻기에는 한계가 있었다.

또한 항암제조제로봇의 도입을 검토하면서 관련 자료들을 수집한 결과, 항암제를 조제자가 직접 조제하는 것보다 로봇을 이용하여 조제했을 때 정확도와 안전성이 향상됨을 확인할 수 있는 연구들이 있었다.14)-16) 항암제조제로봇의 도입을 결정하게 되었을 때 국내에서 단 2개의 병원에 각각 서로 다른 제조사의 장비가 도입되어 병원 견학을 통해 실제적인 도움이 되는 정보들을 수집할 수 있었다. 이러한 근거 논문들의 결과와 타병원 설치 사례에 대한 경험은 장비를 선정하고 설치하는데 좋은 기초정보가 되었다. 항암제조제로봇의 도입은 상급종합병원들을 대상으로 급속도로 진행되었으며, 한국병원약사회에서 2021년에 전국 병원의 자동화 실태를 조사한 결과보고서에는 9개 병원에서 항암제조제로봇을 사용하고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17)

특수조제실 구축 방향과 과정

1. 전체 설계 고려사항

주사제 무균조제 시스템 구축을 위해서는 상당히 많은 공간과 비용, 시간의 사용이 필요하므로 의약품의 발전, 사회적 요구도, 병원 현황 등을 고려한 장기적 목표 설정, 깊은 고민, 부단한 노력을 전제로 시행되어야 했다. 구축과정에서 가장 먼저 고려하였던 것은 의약품 안전과 조제자 안전이었다. 의약품 개발 속도가 가속화되면서 상급종합병원을 중심으로 주사제 무균조제가 급속도로 증가하였지만, 이러한 속도에 맞추기 위한 전문인력의 확보는 더욱 힘들어졌다. 이로 인하여 의약품의 안전을 담보하기 어려운 위기 속에서 기존 시스템을 개선하는 정도를 넘어, 패러다임을 바꾸는 수준의 전략이 필요하였다. 그 결과 항암제조제로봇의 구매와 특수조제실을 기존의 공간 대신 새로운 공간으로 확장(127 m2→347 m2) 이전하는 중요한 결정이 이루어졌다. 이에 새로운 특수조제실 내의 각 실방의 기능적 분리, 의약품과 작업자의 동선, 무균성을 확보하기 위한 적절한 차단과 연결, 청정도 관리를 위한 공기순환과 공기 유속, 안전을 위한 공기 흐름과 공기압 차이 등 고도의 전문적 지식과 경험이 필요한 설계를 시작하게 되었다(Table 1).

항암제 조제 공간은 사전에 충분히 확보하되 그 외의 주사제 무균조제 공간은 미래의 주사제 무균조제에 대한 요구도와 필요성의 증가를 고려한 확장 가능성을 반영하고자 하였다. 항암제조제로봇, 항암제배송로봇, 생물안전작업대(Biological Safety Cabinet, BSC)를 모두 신규 구매하여 설치하게 되면서 새로운 장비들의 설치를 위한 공간 면적, 천장 높이, 하중, 전력, 배기, 공조 등에 대한 충분한 고려가 필요하였다.

이러한 부분들을 병원 내 약제부 약사와 시설팀 직원, 외부건축·기계설비·전기 분야별 설계업체 담당자들이 국내외 지침 확인, 타병원 견학, 근무자들의 요구도, 미래 확장성 등을 검토하여 2019년 11월부터 약 2개월 이상의 시간을 들여 특수조제실을 설계하게 되었다(Fig. 1).

2. 전실

특수조제실 전실은 외부 공기의 유입방지와 직원 출입통제를 위해 자동문 2개와 그 사이의 전실로 구성되었다. 전실의 외부 출입문은 병원 전체 직원들의 출입이 가능하고 조제가 완료된 주사약을 인수인계할 수 있도록 바코드 리더기와 컴퓨터, 주사실로 항암제를 배송하는 항암제배송로봇 충전기를 설치하여 공간을 구성하였다. 전실 이후 사무실로의 출입문은 약제부 직원들만 출입할 수 있도록 하는 통제시스템을 적용하였다. 내부로 이동 시 실외화를 실내화로 갈아신고 들어가도록 하고, 출입문 앞 사무실 바닥면에 sticky mat를 깔아 사무실 출입 시에 분진을 최대한 제거할 수 있도록 하였다.

3. 사무실

사무실 구역은 조제실 내부와 외부를 연결하면서 특수조제실의 전체적인 상황을 관리하는 구역이다. 출입문 인근에 배치하여 특수조제실 외부의 출입을 통제하고 조제가 완료된 항암제를 사용부서로 전달하며, 각 실의 온습도와 공조장치의 작동 여부를 한 화면에 볼 수 있는 통합관제 설비를 모니터링한다. 또한 물을 포함한 음식물의 섭취는 사무실을 포함한 특수조제실 전 구역에서 절대 금지이므로, 예외적으로 교육실 내에서만 허용될 수 있도록 사무실 옆 공간을 구획하였다.

관망창은 사무실과 조제실 내부를 연결하는 핵심적 역할을 한다. 사무실과 항암조제실 사이의 관망창은 사무실 내의 약사와 조제실 내의 약사가 항암제 조제와 관련한 내외부 상황을 공유하고 소통할 수 있도록 하였다. 또한, 향후 확장을 고려하고 있는 공간에 시설을 갖추기 위한 확장이 진행된다면, 조제실로 이동하는 복도의 좌측면에 관망창을 설치하여 사무실에서 내부 상황을 파악할 수 있도록 계획되었다.

4. 유해의약품 조제 구역

항암조제실은 외부로부터의 오염된 공기와 물질의 유입을 차단하고 유해 약물의 노출을 최소화하기 위해, 조제자와 의약품의 동선을 분리하고 각각 한 방향으로 움직이게 하는 one-way 구조를 선택하게 되었다. 그 결과 국내외 지침에서도 언급되지 않은 조제 후실을 만들어, 조제자가 탈의하고 나올 수 있는 시설을 만들게 되었다.

항암제 조제자는 먼저 탈의실에서 사복을 작업복으로 환복한 후에 조제 전실의 scrub station에서 손위생을 수행, 보호복을 착용, 전신거울을 통한 확인을 할 수 있도록 설계되었다. 조제 전실은 의약품 준비실과 조제실로 이동할 수 있는 문을 두어 출입문을 포함한 총 3개의 자동문으로 둘러싸인 구조이다. 조제 전실에서 다른 실로 이동하는 문 앞의 벽면에는 공기압 차이를 확인할 수 있도록 차압계를 벽면에 설치하고, door interlock system과 비상시 자동열림 및 제어장치를 설치하였다.

항암제 준비실은 유해한 의약품이 다수 보관되는 장소이므로 음압을 유지하며, 처방을 감사하는 약사가 상주하면서 처방전을 검토하고 항암제와 수액을 준비하여 패스박스를 통해 조제실 내로 전달하는 공간이다. 의약품의 외부 포장제 제거, 처방전과 라벨의 출력과 같이 비생물성 입자가 발생하는 업무가 해당 공간에서 처리되게 함으로써 비생물성 입자가 조제실 내부로의 유입되는 것을 효율적으로 차단할 수 있다. 준비실 내에서 처방을 감사하는 약사는 관망창을 통해 조제실 내부를 확인할 수 있으므로, 조제실 상황을 파악하여 검토된 처방 내용을 원내 전산을 통해 항암제조제로봇으로 전송하고 필요한 경우 수동조제를 하도록 선택할 수 있다.

항암제 조제실은 항암제조제로봇을 최대 4대 설치할 수 있도록 계획하고 운영을 시작하는 시점에는 먼저 2대를 설치하게 되었다. 향후 2대를 추가 설치할 경우를 대비하여 무균조제실 환경에 최소한의 영향을 줄 수 있도록 사전에 시행해둘 수 있는 부분은 같이 공사를 시행하였다. 또한, 항암제 조제를 위한 BSC Class Ⅱ type B2 3대를 같이 설치하면서 배기에 필요한 풍량 등을 조절하는 덕트설비 공사가 매우 민감하고 어려운 부분 중 하나였다. 스프링클러 설비는 고가의 로봇이 설치된 공간이므로 특별히 다른 공간과 구분하여 습식이 아닌 가스계 소화설비로 선택하였다.

조제 후실은 항암제를 조제한 약사가 보호복을 탈의하고 나오는 공간으로 준비되어 보호구의 착용과 탈의가 한 공간에서 동시에 이루어지는 것은 원천적으로 차단하였다. 조제 후실 내에는 의료폐기물 수거함과 손위생을 위한 세면대를 갖추고 있으며, door interlock system이 설치되어 오염된 공기가 내외부로 전달되지 않도록 하였다. 조제 후실을 나온 약사는 외부로 나와 다시 탈의실에서 작업복에서 사복으로 환복하면 비로소 조제자의 one-way 동선이 마무리되는 설계이다.

항암제와 수액제는 사무실 구역에서 조제 전실을 거쳐 음압을 유지하는 준비실로 이동하여 의약품 보관장 또는 냉장고에 보관된다. 준비실 내 보관된 항암제는 약사가 처방 검토한 후 수액, 라벨과 함께 패스박스를 통해 항암조제실로 전달된다. 항암조제실에서 조제된 항암제는 조제 후 감사를 통해 정확하게 조제가 되었다고 판단되면 사무실 구역과 연결된 패스박스를 통해 전달되어 배송을 준비하게 된다. 이후 다시 전실에서 항암제배송로봇을 이용하여 해당 부서로 전달하거나, 인편으로 인수인계하여 외부로 가게 되면 항암제의 one-way 이동이 완결된다.

5. 유해하지 않은 의약품 조제 구역

유해하지 않은 주사제를 조제하는 구역은 유해의약품 구역과는 완전히 분리된 구역에 조제실과 조제 전실 모두 양압으로 설계되었다. 해당 조제실은 주로 고영양수액제(Total Parenteral Nutrition, TPN)를 조제하는 공간으로 BSC 내에 Baxter사의 Exacta Mix 2400 (EM2400) TPN Compounder 1대를 설치하여 조제하고 있다. EM2400 장비는 설치 및 사용을 위해 약 1,000 cm 정도 너비의 공간이 필요하며 그 외 약사가 장비에서 조제된 백에 주사제를 직접 주입할 수 있는 공간을 확보할 수 있도록, 너비가 약 2,440 cm인 BSC class Ⅱ type A2 사양의 장비 2대로 선정하여 구매하게 되었다. 해당 구역은 현재의 업무 범위를 고려하였을 때 충분히 사용할 수 있도록 설계되었으나, 향후 첨단바이오의약품을 포함한 다양한 주사제를 대상으로 무균조제에 대한 요구도가 높아질 것으로 예상된다. 이에 확장 예정 공간을 미리 생각하여, 기존의 설비들에 큰 영향을 주지 않고 단독으로 공사 후 연결할 수 있도록 고려하였다. 확장 연결 시 출입문은 복도, 전실, 무균주사제 조제실 벽면 중 선택하고자 하며 현재의 복도 벽면에는 관망창을 설치하여 사무실에서 통합관제가 가능하도록 할 계획이다. 의료기관 조제실제제는 점차 축소되고 있으므로 최소한의 영역으로 구상하였다. 건조하고 청결한 공정이 이루어지는 공간, 액상의 청결한 공정이 이루어지는 공간, 액상의 비청결한 공정이 이루어지는 공간으로 크게 3개의 구역으로 구획하였다.

6. 시설공사 진행 및 개소

시설 공사는 2020년 8월부터 시행되었다. 특수조제실의 눈에 보이는 면적의 공사 외에 천정 내부에 매우 촘촘하게 각종 설비들이 설치되어야 했으며, 전기실 내외부에도 필요한 설비들을 설치하기 위해 매우 긴 시간이 소요되었다. 무균환경 유지를 위한 벽면과 바닥 재질, 각종 자재의 색상 선택도 심도 있게 고민하여 결정하였다. 특수조제실의 특성상 조제 구역 내외부는 엄격하고 차가운 느낌으로 구성되므로 교육실 내의 마감재와 집기류 등은 조금 더 편안한 느낌을 줄 수 있도록 고려하였다.

2021년 3월 11일에는 이탈리아 Loccioni사로부터 APOTECA Chemo 2대가 입고되어 항암조제실 내에서 약 1달간 재조립, 냉각기 및 덕트설비 공사 등을 진행하게 되었다. 이후 BSC 5대가 항암조제실과 무균주사제 조제실에 입고되어 덕트설비 연결 공사를 시행하였다. 항암제배송로봇이 전실로 드나들 수 있도록 자동문에 센서를 부착하고 전실에 충전대를 설치하였다. 각 실에 필요한 전기, 통신, 전산공사도 동반하여 진행되었다.

안전한 주사제 무균조제를 위한 새로운 시스템 도입과 이로 인한 변화에 대해 약제부 외에 병원 내 타부서들의 많은 직원들도 관심을 가지고 있었다. 이에 항암제조제로봇과 항암제배송로봇의 명칭을 직원 공모를 통해 선정하기로 하였고, 공모된 많은 명칭 중에서 각각의 로봇은 항암제를 조제하는 로봇이라는 뜻의 Chemobot, 꿀벌처럼 무균조제실에서 조제된 항암제를 필요한 부서들에 전달해준다는 Auto-Bee라는 이름을 얻게 되었다.

큰 공사와 장비 설치가 진행되어 2021년 4월 9일에 드디어 병원 내 보직자 및 혈액종양내과 의료진을 포함한 직원들이 참여하여 특수조제실 개소식을 진행할 수 있게 되었다. 이후 추가 점검 및 내부 소독을 시행한 후 2021년 6월 14일부터 현재의 특수조제실이 가동되었다.

자동화 장비 도입 후 효과

항암제조제로봇과 항암제배송로봇은 도입 이전에는 데이터가 없거나 비교 분석이 불가능하여 도입 이후의 효과만 분석하였다. 장비는 주말 및 공휴일을 제외한 평일에만 가동하고 있으므로 평일의 자료만 산출하였으며, 2023년 7월과 8월의 병원 내 파업과 2024년 이후는 의정 사태로 인한 영향으로 해당 기간은 통계에서 제외하였다.

1. 항암제조제로봇

항암제조제로봇 운영 시작일인 2021년 6월 14일부터 2023년 12월 29일까지의 평일 항암제 전체 조제건수, 로봇조제건수, 로봇조제 비율을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았다.

항암제조제로봇의 조제건수는 월평균 2021년 1,049건에서 2023년 1,443건으로 약 37.6% 증가하였고, 로봇을 이용하여 조제한 비율 역시 2021년 27%에서 2023년 36%로 증가하였다(Fig 2). 이는 해당 기간 전체 항암제 조제건수의 증가가 6.9%이었던 것을 고려하면 로봇 사용 이후 조제자들의 장비 이용 숙련도가 높아지면서 로봇 활용도가 더 증가한 것으로 해석될 수 있다.

2. 항암제배송로봇

항암제배송로봇은 2020년 1월 6일부터 총 4개 제조사의 로봇을 시범운영하게 되면서 국내 최초로 로봇을 이용하여 부서간 의약품 배송을 시작하게 되었다(Table 2). 시범운영 장비 중에서 주행의 안전성, 애프터서비스, 사용자 편의성을 포함하여 내외부 고객이 많이 다니는 동선을 고려하여 인간 친화적 디자인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선정하게 되었다. 최종 선정된 제조사의 로봇 1대는 2021년 4월 1일에 도입되어 이전의 특수조제실에서부터 운영을 시작하였으며, 2022년 6월 9일에 1대가 추가로 도입되었다.18)

항암제배송로봇은 중앙진료동 지하 1층의 특수조제실을 거점으로 하여 성인 항암주사실이 있는 외래진료동 지하 1층까지 편도 약 180 m 거리를 이동한다. 성인 항암주사실로 이동하는 동선에는 권역응급의료센터와 영상촬영실을 경유하므로 휠체어와 환자침대 등의 외부 간섭이 매우 많은 조건에서 운행되며 주사실 앞에 있는 자동문 2개에도 센서를 설치하여 로봇이 개폐할 수 있도록 하였다. 소아 항암주사실은 어린이병원 지하 1층에 있으며 편도 약 200 m 거리에 위치하고 소아응급의료센터 앞을 경유하여 자동문 2개를 지나게 된다. 장비는 특수조제실을 출발하여 2개의 주사실을 모두 경유한 후 다시 복귀하는 것도 가능하며 성인과 소아 항암주사실 사이의 거리는 약 280 m, 2개 모두 경유하는 경우 1회 약 670 m 정도이다.

주행횟수는 특수조제실에서 출발하여 항암제 사용부서에 전달 후 다시 특수조제실로 돌아오는 횟수로 산출되었으며, 2개의 부서를 경유할 때도 1회로 집계되었다. 주행시간은 항암제를 특수조제실에서 장비에 넣거나 사용부서에서 꺼내기 위해 대기하는 시간은 제외하고 목적지로 이동하기 위해 움직이는 순간의 시간으로만 산출되었다. 이러한 기준으로 2021년 4월 1일부터 2023년 12월 29일까지의 주행횟수, 주행시간, 주행거리를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았다.

주행거리는 2021년 일평균 6,631 m에서 2023년 11,767 m로 매우 현격히 증가하였으며, 1일 최장 주행거리는 19,360m에 달한다. 2021년 대비 2022년 주행횟수 48.2%, 주행시간 22.8%가 증가하였으며, 이는 2022년 6월 9일에 배송로봇 1대를 추가한 것이 주요한 요인으로 생각된다. 하지만 2022년 대비 2023년에도 주행횟수 18.6%, 주행시간 15.8%, 주행거리 15.9%가 증가하였으며 이 수치 또한 항암제 조제건수의 증가율을 훨씬 상회한다(Fig. 3).

정확한 수치나 자료로 확인하지는 못하였으나, 이전에는 특수조제실에서 조제가 완료된 약이 사용부서에 신속하게 전달되지 않아 환자 민원과 직원 간의 마찰의 원인이 되는 경우가 많았다. 하지만 배송로봇 도입 이후 조제 완료된 항암제가 환자에게 투약되기까지의 시간을 획기적으로 단축하게 되어 환자와 직원들의 만족도가 증가한 것으로 생각된다. 이러한 배송의 효율성으로 인한 약사와 간호사의 업무 집중도 향상은 수치화되기 어렵겠지만 배송을 위한 인건비 절감보다 더욱 의미있는 결과라 판단된다.

주사제 진행상황 공유 전산 구축

약제부서와 간호부서는 의약품의 조제 진행상황에 대한 대부분의 소통이 전화로 이루어지고 있어서 업무 집중도 저하와 직원 간의 마찰에 중요한 원인이 되기도 한다. 이에 필요한 정보를 같이 공유할 수 있도록 퇴원약 진행상황을 공유하는 것으로부터 시작하여 일반조제 파트에서 효율적으로 사용하고 있었다.19) 하지만 특수조제 파트에서는 사용되지 않아 조제 진행상황에 대한 전화문의가 많았으므로 항암제조제로봇이 도입되면서 라벨의 바코드를 활용한 주사제 진행상황 공유 전산을 같이 구축하게 되었다.

전산의 정보는 행위별로 구분하여 등록되고 정보는 사용부서 소속의 간호사가 전산으로 확인할 수 있게 되어 전화를 통한 문의를 획기적으로 개선할 수 있게 되었다(Fig. 4). 처방전이 접수되면 시간이 자동기록되고 라벨을 출력하면 감사시간이 등록된다. 이후 조제 후 감사가 되면 바코드 인식을 하여 조제완료 시간이 전산에 입력되고, 사무실 내 구역으로 이동하면 다시 바코드 리딩을 통해 배송/준비 완료 시간이 입력된다. 항암제배송로봇을 통해 전달받는 부서는 해당 정보를 확인하면 조제가 완료된 약의 도착을 예상할 수 있으며 로봇이 도착하여 전산에서 확인하면 인수시간과 인수자가 입력된다. 인편으로 전달받는 부서는 배송/준비 완료가 확인되면 배송직원이 특수조제실을 방문하도록 하여 전실에 있는 컴퓨터에서 인수인계 정보를 등록한다.

이러한 정보의 공유는 직원들의 업무를 보다 원활하게 할 뿐만 아니라 특정 처방이 지연되지 않도록 관리할 수 있게 한다. 또한 전산 구축 이전에는 파악할 수 없었던 처방 접수부터 조제완료 또는 인수인계, 더 나아가 투약시간까지 파악할 수 있게 되어 업무개선을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다. 업무 진행에 대한 시간적 정보 외에도 조제 후 유효기간이 짧은 의약품이 적정시간에 조제될 수 있도록 하거나, 투여 시 필터 사용에 대한 정보 등을 제공할 수 있어서 항암제의 안전한 사용에도 도움이 된다.

고찰

새로운 의약품들의 개발과 시대적 인식의 변화는 병원 내에서의 주사제 무균조제에 대한 사회적 요구도가 높아지는 상황으로 이어지고 있다. 이러한 흐름 속에서 기존의 시스템으로는 해결할 수 없었던 문제들을 해결하기 위해 많은 자원과 노력을 투입하여 완전히 새로운 시스템을 구축할 수 있었다(Table 3). 우리가 구축하고자 하는 시스템에는 의약품안전, 환자안전, 직원 안전을 보장하여 지속 가능한 발전을 이루기 위한 ESG (Environment, Social, Governance) 경영의 이념도 같이 담아내고자 노력하였다. 이러한 과감한 투자와 혁신적인 의지가 투합되어 새로운 특수조제실은 전실 외 후실까지 설계할 수 있게 되면서 우리나라 유일의 one-way 구조의 항암제 조제실을 구축할 수 있었다.

구축 단계에서 장시간에 걸친 수많은 고민과 노력이 수반되었지만, 실제 운영 이후 몇 가지 부분에 대한 추가적인 개선이 필요하였다. 첫 번째는 넓은 면적을 일정한 온습도, 차압 등의 조건으로 유지하기 위해서는 엄청난 에너지가 필요하였다. 특히 냉장고가 설치된 준비실의 경우는 장비의 발열을 식힐 수 있도록 공조기를 별도로 설치하는 것도 고려해볼 수 있을 것이다. 두 번째는 각 실방간에 관망창과 메신저 등을 통한 의사소통이 가능하지만, 여전히 음성을 이용한 의사소통이 필요한 경우 엄격하게 차단된 구조로 인해 어려움이 있었다. 이에 각 실별로 음향 장치를 추가 설치하여 의사소통할 수 있도록 추가 보완하였다. 세 번째 졸겐스마와 같은 유전자치료제가 임상에 적용되면서 해당 주사제를 무균적으로 조제하기 위한 명확한 가이드라인이 없었다. 이에 기존에 사용 경험이 있는 병원들에 확인하였을 때도 서로 다른 조건에서 무균조제가 이루어져 앞으로 가이드라인이 개정될 때 관련 기준을 마련하는 것이 필요할 것이다.

결론

주사제의 무균조제를 위한 시설, 장비 등의 시스템 구축은 환자안전과 직원안전을 고려하여 전문화된 경험과 지식을 바탕으로 이루어져야 한다. 또한 의약품 관리적인 부분 외에도 에너지 절약, 화재, 재난, 보안 등을 고려할 수 있는 building management system (BMS)의 관점도 반영이 필요하다. 앞으로 다가온 첨단바이오의약품과 방사선의약품과 같은 새로운 형태의 의약품들을 안전하게 조제하고 관리하기 위한 시설이나 설비에 대한 고찰과 준비도 필요한 시기이다.

감사의 말씀

본 연구는 양산부산대학교병원 발전후원회의 연구비 지원을 받아 수행되었습니다.

Fig 1.

Figure 1.특수조제실 도면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Health-System Pharmacists 2025; 42: 77-86

Fig 2.

Figure 2.항암제 로봇조제 현황(월평균)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Health-System Pharmacists 2025; 42: 77-86

Fig 3.

Figure 3.항암제 로봇배송 현황(일평균)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Health-System Pharmacists 2025; 42: 77-86

Fig 4.

Figure 4.주사제 조제 진행 상황 전산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Health-System Pharmacists 2025; 42: 77-86

Table 1 . 특수조제실 시스템 개선 진행 경과.

일자진행사항
2018.8.7.항암제조제로봇 1차 설명회
2018.11.28.항암제조제로봇 2대 도입 결정
2019.2.21.항암제조제로봇 설치 병원에 약제부, 시설팀, 의공실 견학 방문(2개 제조사, 2개 병원)
2019.7.4.항암제조제로봇 2차 설명회
2019.7.12.특수조제실 확장(127 m2→347 m2) 이전 결정
2019.11.11.특수조제실 설계 시작(~2020.1.9.)
2019.11.19.약제부, 시설팀, 설계사 담당자가 서울지역 2개 병원 시설 견학
2020.1.6.항암제배송로봇 시범사용 시작(~2020.11.20. 총 4개 제조사)
2020.6.24.특수조제실 시설공사 입찰 공고
2020.8.10.특수조제실 시설공사 시작
2020.9.1.항암제조제로봇 정식 구매 주문서 발행
2021.3.11.항암제조제로봇 2대 입고
2021.3.24.항암제조제·배송로봇 명칭 선정(Chemobot, AutoBee)
2021.4.1.항암제배송로봇 1대 주행 시작
2021.4.9.특수조제실 확장 개소식
2021.6.14.특수조제실 이전 완료, 항암제조제로봇 2대 운영 시작
2022.6.9.항암제배송로봇 1대 추가 운영 시작(총 2대 운영)

Table 2 . 항암배송로봇 시범운영.

A사B사C사D사
시범운영 기간2020.1.6.~1.31.2020.2.28~4.7.2020.7.14.~8.6.2020.10.19~11.20.
생산국국산싱가폴국산국산
크기 (높이*너비)90 cm * 50 cm128 cm * 60 cm130 cm * 50 cm125 cm * 50 cm
적재가능 하중10 kg60 kg15 kg60 kg

Table 3 . 특수조제실 개선 전후 비교.

개선 전개선 후비고
사용 시작일2008.11.24.2021.6.14.
면적127 m2 (공조기 설치 공간 포함)347 m2 (공조기 설치 공간 제외)
항암제용 장비BSC class Ⅱ type B2 3대조제로봇 2대, BSC class Ⅱ type B2 3대개선 후 조제로봇 총 4대까지 설치 가능
TPN 장비EM2400 1대, BSC class Ⅱ type A2 1대EM2400 1대, BSC class Ⅱ type A2 2대개선 후 너비가 긴 BSC 도입
탈의실없음 → 있음있음개선 전 사무실 공간 내 일부 구획
전실없음있음
Scrub station없음있음
전실 거울없음있음
후실없음있음
차압 확인수동디지털 차압계
항암제 보관사무실(등압)준비실(음압)

References

  1. 주사제 안전사용 가이드라인(민원인 안내서). 식품의약 품안전처. 05 2016.
  2. 주사제감염 예방 안전 가이드라인. 보건복지부, 환자안전보고학습시스템, 의료기관평가인증원. 2021.
  3. 주사제 무균조제 가이드라인. 한국병원약사회. 11 2018.
  4. 주사제 무균조제 가이드라인. 한국병원약사회. 04 2024.
  5. US Centers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National Institute for Occupational Safety and Health (NIOSH). Hazardous Drug Exposures in Healthcare. (https://www.cdc.gov/niosh/healthcare/hazardous-drugs/index.html)..
  6. U.S. Pharmacopeia. Compounding Standards. USP General Chapter <797> Pharmaceutical Compounding - Sterile Preparations. (https://www.usp.org/compounding/general-chapter-797)..
  7. U.S. Pharmacopeia. Compounding Standards. USP General Chapter <800> Hazardous Drugs-Handling in Healthcare Settings. (https://www.usp.org/compounding/general-chapter-hazardous-drugs-han-dling-healthcare)..
  8. American Society of Health-System Pharmacists. ASHP Guidelines on Compounding Sterile Preparations. American Journal of Health-System Pharmacy. 2014;71:145-166.
    Pubmed CrossRef
  9. American Society of Health-System Pharmacists. ASHP guidelines on handling hazardous drugs. Am J Health-Syst Pharm. 2018;75:1996-2031.
    Pubmed CrossRef
  10. Institute for Safe Medication Practices (ISMP). ISMP Guidelines for Safe Preparation of Compounded Sterile Preparations. Original Publication: 2013. Revised: 2016.
  11. 주사제 및 항암제 무균조제 가이드라인. 사단법인 일본병원약사회 학술 제3소위원회. 05 2008.
  12. Allan EL, Barker KN, Severson RW et al. Design and evaluation of a sterile compounding facility. Am J Health-Syst Pharm. 1995;52(13):1421-7.
    Pubmed CrossRef
  13. Kang MK, Park HM, Lee YJ et al. Survey of Work Environment and Healthcare Workers Safety for Handling Antineoplastic Agents in Korean Hospitals. JKSHP. 2015;32(2):104-18.
    CrossRef
  14. Masini C, Nanni O, Antaridi S et al. Automated preparation of chemotherapy: Quality improvement and economic sustainability. Am J Health Syst Pharm. 2014;71(7):579-85.
    Pubmed CrossRef
  15. Iwamoto T, Morikawa T, Hioki M et al. Performance evaluation of the compounding robot, APOTECAchemo, for injectable anticancer drugs in a Japanese hospital. J Pharm Health Care Sci. 2017;3(1).
    Pubmed KoreaMed CrossRef
  16. Yaniv AW, Orsborn A, Bonkowski JJ et al. Robotic i.v. medication compounding: Recommendations from the international community of APOTECAchemo users. Am J Health Syst Pharm. 2017;74(1):40-6.
    Pubmed CrossRef
  17. 2022년 병원 약제업무 자동화 실태조사 결과보고서. 한국병원약사회. 12 2022.
  18. 황은정. 투약안전을 위한 자동화기기 적용. 병원약사 회지. 2024;41(1):1-11.
  19. 양산부산대학교병원 약제부. 퇴원약 진행상황 전산 시스템 도입. 한국병원약사회 추계학술대회: 11 2018.